미숙아
정의
태 안에 있는 기간이 37주 미만이거나 최종 월경일에서 259일 미만에 태어난 아기를 말합니다.
미숙아의 빈도는 사회 경제적 여건과 출생 전 간호 등에 따라 다르지만, 대개 4~8% 정도로 나타납니다. 우리나라의 미숙아 빈도에 대한 정확한통계는 없지만, 현재까지 발표된 보고들을 종합하여 보면 2500g 미만의저체중 출생아의 빈도는 6~8%, 1500g 미만의 극소 저체중 출생아의 빈도는 1% 정도로 추산됩니다.
원인
-태아의 이상 : 태아곤란증, 다태 임신, 태아 적아구증, 비면역성 태아 수종
-태반의 이상 : 태반기능 부전, 전치 태반, 태반 조기 박리
-자궁의 이상 : 쌍각자궁, 자궁 경관 무력증
-산모의 원인 : 임신중독증, 만성병(청색증형 심장병, 신장병), 감염증, 약물 남용
-기타 : 조기 양막파수, 양수 과다증
증상
미숙아는 모든 신체 발육이 미숙한 상태이므로, 몸 전체에 불리한증상들이 나타납니다.
△체온 조절이 잘 안 되고
△허파의 계면 활성 물질이 부족하여 호흡곤란증후군(유리질막병)의 빈도가 높으며
△동맥관 개존증
△출혈성 폐부종
△머릿속 출혈
△미숙아 황달
△괴사성장염
△수유의 어려움
△미숙한 배뇨 작용
△미숙아 망막증 등이 정상 신생아에 비해 발병률이 높습니다.
진단
미숙아는 재태 주령(태 안에 머무는 주 수)에 의해 결정되며, 미숙아로 인한 합병증은 질병에 따라 검사 및 진단 방법이 다릅니다.
치료
치료 경과는 미숙아마다, 증상에 따라 다릅니다. 예후는 일반적으로 재태 주령 23주 미만은 활력징후가 거의 없으며, 23주에서 24주 사이의 미숙아는 최신의 의료기술을 보유한 곳에서도생존율이 20~46%입니다.
환아의 체중에 따라 사망률은 750g 미만은 약 40%, 750~999g의 미숙아는 25~30%, 1000~1499g의미숙아는 약 10%입니다. 유리질막병으로 기관지폐 이형성증, 위장관 미숙에 의한 괴사성 장염, 미숙아 망막증으로 인한 실명 및머릿속 출혈로 말미암마 장기적인 신경학적 장애를 가질 위험도 높습니다.
질환 관리법
퇴원 후 미숙아 관리는 정상 만삭아와 동일합니다. 그러나 만성 폐병이 있는 환아가 수유 시 산소 포화도가 떨어진다면 산소 포화도 측정 및 일시적 산소 투여가 필요합니다. 특히 미숙아는 감염에 취약하므로 감염에 노출되지 않도록 조심해야 합니다. 기본 예방접종은 스케줄대로 정상적으로 시행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