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숙아

정의

태 안에 있는 기간이 37주 미만이거나 최종 월경일에서 259일 미만에 태어난 아기를 말합니다.

미숙아의 빈도는 사회 경제적 여건과 출생 전 간호 등에 따라 다르지만, 대개 4~8% 정도로 나타납니다. 우리나라의 미숙아 빈도에 대한 정확한통계는 없지만, 현재까지 발표된 보고들을 종합하여 보면 2500g 미만의저체중 출생아의 빈도는 6~8%, 1500g 미만의 극소 저체중 출생아의 빈도는 1% 정도로 추산됩니다.

원인

-태아의 이상 : 태아곤란증, 다태 임신, 태아 적아구증, 비면역성 태아 수종

-태반의 이상 : 태반기능 부전, 전치 태반, 태반 조기 박리

-자궁의 이상 : 쌍각자궁, 자궁 경관 무력증

-산모의 원인 : 임신중독증, 만성병(청색증형 심장병, 신장병), 감염증, 약물 남용

-기타 : 조기 양막파수, 양수 과다증

증상

미숙아는 모든 신체 발육이 미숙한 상태이므로, 몸 전체에 불리한증상들이 나타납니다.

△체온 조절이 잘 안 되고

△허파의 계면 활성 물질이 부족하여 호흡곤란증후군(유리질막병)의 빈도가 높으며

△동맥관 개존증

△출혈성 폐부종

△머릿속 출혈

△미숙아 황달

△괴사성장염

△수유의 어려움

△미숙한 배뇨 작용

△미숙아 망막증 등이 정상 신생아에 비해 발병률이 높습니다.

진단

미숙아는 재태 주령(태 안에 머무는 주 수)에 의해 결정되며, 미숙아로 인한 합병증은 질병에 따라 검사 및 진단 방법이 다릅니다.

치료

치료 경과는 미숙아마다, 증상에 따라 다릅니다. 예후는 일반적으로 재태 주령 23주 미만은 활력징후가 거의 없으며, 23주에서 24주 사이의 미숙아는 최신의 의료기술을 보유한 곳에서도생존율이 20~46%입니다.

 

환아의 체중에 따라 사망률은 750g 미만은 약 40%, 750~999g의 미숙아는 25~30%, 1000~1499g의미숙아는 약 10%입니다. 유리질막병으로 기관지폐 이형성증, 위장관 미숙에 의한 괴사성 장염, 미숙아 망막증으로 인한 실명 및머릿속 출혈로 말미암마 장기적인 신경학적 장애를 가질 위험도 높습니다.

질환 관리법

퇴원 후 미숙아 관리는 정상 만삭아와 동일합니다. 그러나 만성 폐병이 있는 환아가 수유 시 산소 포화도가 떨어진다면 산소 포화도 측정 및 일시적 산소 투여가 필요합니다. 특히 미숙아는 감염에 취약하므로 감염에 노출되지 않도록 조심해야 합니다. 기본 예방접종은 스케줄대로 정상적으로 시행합니다.

설명

생존가능 한계 이후에, 정기 출산의 시기 이전에 자연적이거나 인공적으로 분만하는 것을 조산이라고 하며, 그 결과 태어난 아이를 조산아라고 말한다. WHO에서는 28~37주에 태어난 아기라고 정의하고 있다. 현재 생존가능 한계는 의료기술의 진보에 의해 그 한계역이 넓혀지고 있다. 조산아의 대부분은 저체중아(2,500g 이하)로 출생하기 때문에 각 장기기능이 충분하게 성숙되어 있지 않아 생후에 호흡, 간, 콩팥 등의 기능장애를 발생하는 일이 많다. 보육기에 의한 관리가 필요한 경우도 있다. 어리거나 나이 많은 임부의 초산에 많다.

    코메디닷컴 관리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