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막하혈종
정의
두부외상으로 인하여 경막과 지주막 사이에 혈종이 형성된 것을 외상성 경막하혈종이라고 한다. 대부분이 심한 두부외상 후에 발생되어 심한 뇌좌상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으나 간혹 특히 노년층에서 아주 경미한외상 후에도 발생된다. 경막하혈종을 급성, 아급성, 만성으로 분류하는데, 급성은 외상 후 48~72시간 이내, 아급성은3~20일, 만성은 3주 후에 경막하혈종의 증상이나징후를 보일 때를 말한다.
원인
대부분이 심한 두부외상 후에 발생되어 심한 뇌좌상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으나 간혹 특히 노년층에서 아주 경미한외상 후에도 발생된다.
증상
급성경막하혈종
일반적으로 동반된 뇌좌상에 의하여 수상 식후부터 의식장애가 지속되는 경우가 많으며 18~20%에서 의식청명기를 보인다. 의식이 있는 경우 심한 두통및 구토를 볼 수 있으며 처음부터 신진대사에 이상이 생기는 쿠싱증상이 오거나 호흡장애가 올 수 있다. 약반수이상에서 동측의 산동을 보이는 동공부동과 반대측 반신마비를 보이는데 특히 제뇌강직이 있으면 예후는 좋지 않다.
만성경막하혈종
만성 두개강내압 항진 증상이 광범하고 지속적인 두통, 구토, 유두부종을 보이며 경도의 반신마비 증상을 보이면서 심부건반사의 항진을 나타낸다. 노인에서는 성격 변화, 기억력 장애, 의식 장애, 요실금 등 치매와 비슷한 소견을 보이는 수도 있다.
점차 두개강내압이 상승되어 측두엽 허니아를 일으키면 의식이 혼미해지면서 동측의 동공이 산대되고 제 3뇌신경 마비증상을 보이며 반대측 추체로 징후가 뚜렷해지고 더 진행되면 뇌간마미 증상을 나타내는데 이런 경우는응급 수술을 하지 않으면 사망하게 된다.
진단
병력상 두부외상의 병력이 뚜렷하고 두통, 구토를 호소하거나 의식변화를보이며 반신마비와 한쪽 동공의 변화가 있으면 일단 두개강 내 혈종의 가능성이 있으므로 정밀검사를 실시한다. 진단상가장 정확한 검사는 뇌 CT인데 급성 경막하혈종의 음영이 두개골 내면에 접하여 넓게 초생달 모양을 하는것이 특징이다. 환자의 상태가 계속 악화되는데 뇌 CT촬영이나뇌혈관조영술을 할 수 있는 시설이 없거나 시간적 여유가 없을 때는 시험적 천두술을 시행 할 수도 있다.
치료
급성 경막하혈종
수술로써 경막하혈종을 제거해야 하는데 광범위한 두개골 절제후 경막을 개방하거나 성형하는 외감압술 즉, 두개골절제술 또는 개두술, 천두술로써 혈종을 제거한다. 급성 경막하혈종은 수술을 하는 것이 원칙이나 뇌부종으로 두개강내압 상승이 동반되므로 뇌부종에 대한 보존적 요법도병행해야한다.
수술로써 혈종을 완전히 제거해도 뇌조직이 혈종으로 심한 압박을 받았거나 직접 손상으로 수반되는 뇌부종이이차적으로 두개강내압을 상승시켜 수술 후 경과를 나쁘게 하는 예가 많으므로 수술 후 가능하면 24시간이내에 뇌 CT촬영을 하고 수일 내에 반복 추적검사를 하는 것이 좋다.외상성간질의 예방 목적으로 전 환자에 항경련제를 최소한 1년이상 투여하는 것이 좋다.
만성 경막하혈종
드물게 자연치유가 되었다는 보고가 있고, 탈수제를 대량 투여하여내과적으로 치료한 보고도 있으나, 장기간을 요하면서 실패율이 높아, 뇌손상이나후유증을 줄이려면 조기에 수술을 하는 것이 원칙이다. 수술방법은 천공배액술, 소천공배액술, 개두술, 경막하-복강간 단락술이 있는데 천공배액술을 많이 이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