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슴고름
정의
폐(허파)는 벽측가슴막과허파가슴막 2겹의 가슴막(늑막)으로 싸여 있습니다. 이 두 겹의 늑막 사이를 가슴막안(늑망강)이라 하며, 이가슴막안에 있는 가슴막액이 맨눈으로 보아 고름성이거나 가슴막액에서 세균이 검출된 것을 가슴고름(농흉)이라고 합니다.
원인
가슴고름의 약 50%는 폐의 일차적인 병변으로 인해 가슴막 안이오염돼 생깁니다. 원인으로는 폐결핵, 폐렴, 폐고름집(폐농양), 가슴외상, 가슴 수술 후 이차 감염, 횡격막하 고름집, 자발성 공기가슴증(기흉)의합병증 및 전신 패혈증 등이 있습니다. 병원균으로는 결핵균, 폐렴쌍구균, 연쇄상구균, 포도상구균 등 화농균을 들 수 있습니다.
증상
보통 환자는 병변 측의 가슴이 조이는 듯한 통증을 호소하며, 병변측이 무겁다는 느낌을 가집니다. 종종 기침을 동반한 전신 무력감과 열이 있을 수 있습니다. 호흡곤란을 동반한 잦은호흡, 잦은맥박 등을 호소하기도 합니다.
또한 적은 수에서 기침할 때 썩는 냄새가 동반된 가래를 동반하기도 합니다.청진 소견으로는 병변 측 가슴의 호흡음 감소와 마찰음이 특징입니다. 가슴벽을 두드리면 통증을느끼기도 합니다.
진단
가슴 엑스레이(X-ray) 촬영이나 초음파 검사, 가슴 컴퓨터단층촬영(CT) 등 방사선학적 검사로 병변을 확인할 수있습니다. 그러나 확진을 위해서는 흉강천자를 통해 가슴막액의 육안적 소견과 세균의 존재 유무를 확인하는것이 필요합니다.
치료
1)급성기 또는 삼출기
가슴막액의 점도가 낮고, 항생제 등으로 적절히 치료하면 허파는아직도 팽창이 가능한 시기입니다.
2)이행기 또는 섬유 화농기
이 시기는 급성기에 적절한 항생제 치료가 이뤄지지 않아 흉강액은 더욱 혼탁해지고, 섬유소가 가슴막 표면에 덮여서 피막을 형성해 가슴고름의 확산을 방지하기도 하지만 폐의 팽창을 방해합니다. 또한 이 시기에는 가슴림프관을 통한 가슴막액의 완전한 배출을 몹시 어렵게 하기도 합니다.
3)만성기 또는 기질화기
이 시기에는 가슴막 내로 기질화된 딱딱한 껍질이 형성돼 배액은 거의 불가능해집니다. 이러한 조직화는 질병이 시작된 뒤 7~10일에 시작해 4~6주 뒤면 본격적인 만성기로 접어들게 됩니다.
4)급성기 및 이행기 가슴고름의 치료
적절한 항생제 치료로 가슴고름의 원인이 되는 일차적 감염 위험 요소를 해결하고, 굵은 가슴림프관을 삽입해 고름을 배출할 수 있습니다. 이때 배농이원활하지 않으면 유로키네이스 등 섬유소 용해제를 사용해 배농을 촉진시키기도 합니다.
이러한 방법으로도 배농이 잘 안 되면 흉강경을 이용해 치료하기도 합니다.그러나 유착이 심해 흉강경을 이용한 시술이 어려우면 조기라도 개흉술로 환자의 상태를 신속히 개선하는 것을 고려할 수도 있습니다.
5)만성기 가슴고름의 치료
이 시기에는 단순한 항생제 치료나 가슴림프관 삽입술로 배액에 어려움이 있으므로 좀 더 적극적인 방법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방법으로도 고름의 배출이 원활하지 않으면 가슴막 박피술을 시행해야 합니다. 이것은 개흉술을 통해 모든 섬유성 조직을 허파가슴막으로부터 제거하고 가슴막안의 고름을 완전히 없애는 수술입니다.
보통의 환자에게는 가슴막 박피술 후 허파의 팽창이 원활합니다. 그러나허파 자체의 병변이 심해 가슴막 박피술 후에도 허파의 재팽창이 충분히 않으면 이러한 빈 공간을 없애기 위해 가슴 성형술, 근육전위술 등의 방법으로 치료해야 할 때도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가슴고름의 치료 결과는 예측하기가 어렵습니다. 가슴고름의외과적 치료는 시간도 많이 걸릴 뿐만 아니라 결과도 매우 다양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