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베 증후군
정의
1952년에 로베 등은 선천성 백내장과 지능 저하를 가진 아이를처음 알아냈고, 더 많은 환자들이 발견된 후에 판코니 증후군(fanconisyndrome)에서 보이는 콩팥요세관 결함과 성염색체(암수의 성을 결정하는 데 관여하는염색체)로 유전하는 것을 밝혀냈습니다. 로베의 눈뇌콩팥증후군의세 가지 징후는 선천성 백내장, 신생아나 유아기의 근육긴장 저하와 이후의 지능 저하, 콩팥요세관 기능장애를 말합니다.
원인은 X염색체 장완 q26에위치한 OCRL1 돌연변이 때문으로 50만 명에 한 명꼴로발병하는 빈도를 보입니다. 판코니 증후군과 관련된 심한 대사산증(혈액의산-염기 정도를 반영하는 수소이온 농도(pH)의 정상치는 7.35~7.45인데, 대사와 관련된 원인에 의해 이 농도가 7.35 미만으로 낮은 것)으로 생후 첫 몇 개월간에 높은 사망률을보이기도 합니다.
환자들은 성장 장애, 심한 대사산증, 전해질 불균형과 탈수를 보입니다. 또한 근육긴장 저하와 기침반사능력이 감소돼 폐렴에 자주 걸릴 수 있습니다. 사망의 다른 원인으로 감염과 경련지속증을 들 수 있습니다. 설명할 수 없는 갑작스러운 사망도 발생합니다. 대개는 10~20대에 사망하며 일부에서 30~40대까지 생존하는 환자의 경우만성콩팥기능상실을 가진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 병은 성염색체로 유전하므로 주로 남자에게서 발견됩니다. 일부여자의 경우도 알려져 있지만 극소수입니다. 이들은 대개 OCRL1 자리(locus)를 포함하는 성염색체와 상염색체(생물의 염색체 가운데 성염색체가아닌 보통 염색체)의 자리 옮김으로 OCRL 표현형이 완전히나타나게 된 것으로 생각됩니다.
원인
OCRL1 유전자의 돌연변이에 의한 것으로 이 유전자는 X염색체 장완 q26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OCLR1 단백질은 포스파티딜이노시톨 4, 5-비스포스페이트 5 포스파티아제(phosphatidylinositol 4,5-bisphosphate(PtdIns[4,5]P2) 5 phosphatase)인데 이것은 골지(golgi,세포 소기관의 하나) 부속물에 위치해 단백질 거래, 중간전달자및 세포 대사를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증상
신체적인 특징에 기초해 대개는 출생 때나 이른 영아기에 진단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신경과 행동 이상을 보이는 질환들에서 자세한 과거력과 가계력을 살피다가 나중에 진단되기도 합니다. 이 병은 눈, 중추신경계와 콩팥에 이상을 보이며 깊게 들어간 작은눈, 튀어나온 이마와 긴 얼굴 형태를 특징으로 합니다.
눈)
모든 남자어린이 환자에게서 선천성 백내장을 관찰할 수 있고 약 50%에서영아기 녹내장이 보이기도 하는데 주로 양쪽에서 발생합니다. 모든 남자어린이는 시력이 감소하고 교정시력은 20/100 이상 좋아지지 않습니다. 각막과 결막에 켈로이드가 저절로생겨 시력 감퇴의 주요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약 25%의환자에게 각막에 켈로이드가 생기는데 대개 5세 이전에, 2분의 1 이상에서 양쪽에서 발생합니다. 사시도 관찰됩니다.
신경)
전신의 근육 긴장저하가 태어날 때 관찰되고 이는 뇌의 이상 때문입니다. 깊은힘줄반사는 대개 나타나지 않습니다. 신생아 때 음식 섭취를 잘 못해 성장 장애가 일어나며 발달도 많이늦어집니다. 근육의 긴장저하는 나이가 듦에 따라 서서히 좋아지나 정상적인 운동 상태까지 도달하지는 못합니다.
운동 및 신경기능)
운동 기능은 지연됩니다. 거의 모든 남자 어린이는 지능 저하가동반되는데 10~25%에서는 낮은 정상치나 약한 정도의 지능 저하(IQ가 70 이하)를 보입니다. 약 25%에서는 중증에서 중등도 정도, 50~65%에서는 심한 지능 저하를관찰할 수 있습니다.
경련은 반 정도에서 관찰되는데 대개 6세 이전에 나타납니다. 경련의 형태는 다양하나 근육간대경련(간대성근경련) 발작, 긴장간대 발작, 영아연축및 복합 부분발작 등으로 나타납니다. 열성 경련도 자주 보입니다. 대부분의아이들은 친근하고 사회적이지만 행동 장애가 동반됩니다. 분노 발작, 공격적행동, 특이한 반복적 동작, 보챔과 경직 등이 나타나며 특이한강박감과 자해 행동도 보입니다. 변비가 자주 나타나지만 나이가 들수록 서서히 좋아집니다.
콩팥)
어린이 환자들은 다양한 정도의 판코니 형태의 근위부(몸의 중심에서가까이 있는 곳) 콩팥요세관 기능장애를 나타냅니다. 중탄산염의소실과 콩팥요세뇨관산증, 저인산혈증과 인산 소변, 콩팥 구루병, 아미노산 소변, 낮은 분자의 단백 소변, 나트륨과 칼륨 소실과 다뇨증을 보입니다.
판코니 증후군은 일반적으로 출생 후 첫 몇 개월 동안에는 뚜렷이 보이지 않지만 6~12개월 사이에 증상이 나타납니다. 토리(사구체)경화증은 만성 요세뇨관 손상과 관련이 있는데 보통 서서히 진행돼 10~20대 후에 만성 콩팥기능상실 및 말기 콩팥병으로 진행됩니다.
골격계)
저인산혈증과 대사산증은 뼈질환을 일으키는데 구루병, 뼈연화증과뼈감소증이 생깁니다. 뼈감소증은 치료로 정상 혈중 인산 수치를 보여도 지속적으로 나타납니다. 골절이 자주 생기며 주로 걸음마를 배울 때 많이 나타납니다. 넓적다리뼈가자주 부러집니다.
약 3분의 1에서한 번 이상의 골절을 경험합니다. 관절의 부종, 관절염과힘줄윤활막염도 자주 보이며 전형적으로 10대 후반과 20대초반에 나타납니다. 척주옆굽음증(척추측만증)은 사춘기 이후에 점점 진행합니다. 양측 관절의 과다운동성과 감소되는운동양상은 관절 수축으로 나타나기도 합니다. 출생 시에는 정상 체중과 키를 보이나 1~3세쯤에 키가 300분위 수 아래로 떨어집니다. 사춘기 발달은 정상적으로 진행됩니다.
기타 증상)
잠복고환(고환이 배 안에 있고 외부에서는 만져지지 않는 상태)이 15~40%에서 일어나며 피부와 점막의 주머니혹(낭종)이 입, 치아, 엉덩이와 다리 뒷부분에서 관찰되기도 합니다. 이것은 통증을 보이기도하며 2차 감염증을 일으키기도 합니다.
진단
임상적으로 남자아이는 양측 선천성 백내장, 영아기 근육긴장 저하, 발달 지연, 판코니 형태의 근위부 콩팥요세관 기능장애(중탄산염소변, 산증, 인산소변, 아미노산 소변, 저분자 단백소변) 등의 증상을 보이면 진단할 수 있습니다.
그 외의 증상으로 영아 녹내장, 경련, 깊은힘줄반사저하, 적응 장애 및 강박적이고 특이한 반복적 행동, 저신장, 뇌의 미약한 뇌실 확장과 다양한 크기의 주머니혹 등이 있습니다. 또한 고칼슘소변증과 콩팥석회증, 콩팥돌증, 병적 골절과 뼈의 광물제거 증상, 치아나 피부의 주머니혹의 증상이보입니다.
유전인자를 갖고 있는 여성의 약 95%에게서 각각의 눈의 렌즈를정밀하게 검사해 렌즈의 혼탁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화학적 검사로는 소변검사, 소변 전해질 분석, 소변 아미노산,삼투압, 혈액 전해질 검사, 혈액가스분석검사, 혈장 및 소변 카르니틴 검사 등을 할 수 있습니다. 방사선 검사로는뇌 자기공명영상(MRI)을 해서 뇌실 주위의 이상을 볼 수 있습니다.손목 사진과 긴뼈 사진으로 구루병을 발견하고 콩팥 초음파로 콩팥석회증이나 콩팥돌증 여부를 관찰합니다.
배양된 섬유아세포에서 이노시톨 폴리포스페이트 5-포스파티아제(inositol polyphosphate 5-phosphatase) OCRL-1 효소 활성도를 측정해 감소된것을 확인하거나 OCRL1 유전자의 돌연변이를 발견하면 확진할 수 있습니다.
치료
1.약물치료
콩팥요세관산증의 치료는 산염기 상태와 전해질 수치를 자세하게 평가해 중탄산염이나 구연산염 등을 투여해 혈장중탄산염의 수치가 20 mEq/L 이상으로 유지하도록 합니다. 중탄산염은 1~10mEq/kg/일의 용량으로 하루 3~4회 나누어서 먹도록 하고구연산칼륨은 칼슘 소변을 증가시켜 콩팥석회화 등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카르니틴을 복용할 수도 있습니다. 이를 통해 인산과 비타민 D를 보충해 구루병을 예방합니다. 탈수나 전해질 이상이 생겼을 때정맥으로 수액 및 전해질 보충을 바로 해야 합니다. 만성 콩팥기능상실로 진행되면 투석을 해야 합니다.
2.수술요법
가능하다면 초기에 수술로 백내장을 치료해 적정 시력을 보존하고 뇌의 발달을 자극해야 합니다. 인공렌즈는 눈의 성장을 방해하고 녹내장을 발생시킬 수 있어서 추천되지 않습니다. 녹내장은 거의 반 정도에서 생기는데 대개는 치료하기가 어렵습니다.
수술로 안구 안의 수액 흐름을 조절하는 인공판막을 삽입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각막 켈로이드는 시력을 방해하는데 수술로 제거합니다. 사시도 수술로교정합니다. 잠복고환은 저절로 내려오지 않으므로 수술해야 하며 신생아 때 잘 먹지 못하면 비위강내관을통해서 음식을 섭취하도록 해야 합니다. 위식도 역류가 있다면 약물치료 및 수술을 해야 합니다.
3.재활치료 및 지지
물리치료, 작업치료, 언어치료, 영양 방법에 대한 치료가 필요하며 조기에 해야 합니다. 시각장애인을위한 복지시설에서 도움을 받는 것도 권장합니다. 항경련제를 먹거나 행동 장애에 대한 약물치료를 하기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