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증
정의
일반적으로조울증이라고 알려져 있는 마음의 병을 정신과에서는 양극성 장애라는 병명으로 부릅니다. 양극성 장애는기분, 에너지, 생각과 행동에 극단적인 변화가 일어나는 것이특징으로, 치료가 가능한 병입니다. 양극성 장애를 조울증이라고하는 이유는 조증과 우울증의 양 극단 사이에서기분이 변화하는 특징적인 증상 때문입니다. 이러한 기분 변화는 수시간,수주 또는 수개월간 지속되기도 합니다. 우울증처럼 흔하지는 않지만, 전 인구의 1% 정도는 평생에 한번 양극성 장애를 앓는 것으로 알려져있습니다. 조울증은 대개 청소년기 말에 병이 생겨 우울증의 모습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은데, 아동기나 노년기에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남자와 여자의 조울증 발생률은차이가 거의 없지만, 남자는 주로 조증의 형태로, 여자는주로 우울증의 형태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증상
양극성 장애는 우울장애(우울증)와는 임상적으로 뚜렷하게 구별이 가능한 병이지만, 우울증 상태에 접어들면 일반적인 우울장애와 유사한 양상을 보입니다. 양극성장애를 앓은 대부분의 사람들은 극단적인 에너지의 충만, 기분의 고조와 더불어 깊은 고통 및 절망의 양극단을경험하였다고 이야기합니다. 이러한 심한 진폭의 기분 변화와, 정상적인생활을 불가능하게 하는 병의 심각한 증상들은 일상적인 기분의 변화와 구별할 수 있는 양극성 장애의 특징입니다.
1. 조증 상태의 증상
신체적인 행동뿐만 아니라정신적인 활동도 활발해지며, 에너지가 증가한다.
기분이 고조되고, 과도하게 낙관적이 되며, 자신감이 가득하다.
쉽게 짜증을 내며, 공격적인 행동을 보인다.
피곤을 느끼지 않으며수면욕구도 줄어든다.
과대사고에 빠져들고, 자존감이 고양된다.
말이 빨라지며, 생각이 빠르게 돌아가는 느낌이 든다.
충동적이 되며, 판단력이 떨어지고, 주변 일에 쉽게 주의가 끌린다.
음주운전, 과속, 정상적이지 않은 과도한 성관계 등 무책임한 행동을 한다.
증상이 심한 경우, 환각을 경험하고 망상에 사로잡히게 된다.
2. 우울증 상태의 증상
슬픔이 지속되거나 이유없이 눈물이 난다.
식욕이나 수면습관의큰 변화가 생긴다.
짜증 또는 화를 내거나걱정, 불안 증상이 나타난다.
염세적이 되고 매사에관심이 줄어든다.
기운이 없게 느껴진다.
죄책감이나 자신이 쓸모없다는 자책감에 빠진다.
집중력이 떨어지고 우유부단해진다.
이전에 즐기던 일이재미없어지고, 사회생활이 줄어든다.
이유 없이 여기저기가아프다.
죽음이나 자살에 대한생각을 반복적으로 한다.
3. 자가진단 - 한국형 기분장애 질문지
아래의 한국형 기분장애질문지는 치료자가 당신의 기분을 판단하는 데에 도움이 되도록 만든 것입니다. 하지만 질문지의 결과가정확하게 조울증이라고 진단하는 것은 아닙니다. 정확한 진단은 병원에 방문해 의사에게 받을 수 있습니다.
치료
중증근무력증은 이름과마찬가지로 19세기 초에 처음 알려질 때는 호흡마비로 사망에 이르게 되는 예후가 나쁜 병이었습니다. 하지만 1930년대 이후 실제로 효과가 있는 치료법들이 알려지기시작하였고, 다양한 치료법의 발달과 호흡마비에 대한 적절한 치료를 통하여 예후는 획기적으로 개선되었습니다. 요즘에 이르러서는 대부분의 환자가 여러 가지 치료에 의하여 정상생활을 하는데 별 문제가 없을 정도입니다.
1. 항콜린에스터레이스 투여
중증근무력증이 진단되면가장 먼저 사용하게 되는 약물이 항콜린에스터레이스입니다. 이 약물은 대부분의 환자의 증상을 호전시킬수 있습니다. 하지만 지나치게 많은 양을 복용하면 오히려 근력이 약해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간혹 콜린성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지만 보통 심각하지는 않으며 약물의 양을 줄이거나 중단하면 없어집니다. 이 치료의 대표적인 부작용으로는 복통, 설사, 침이 많아짐, 메슥거림, 근육떨림 현상이 나타나는 것입니다.
2. 가슴샘절제술
가슴샘에 종양이 발견되면가슴샘절제술이 필요합니다. 가슴샘종양은 보통 양성이지만 악성인 경우도 있으므로 반드시 수술을 해야 합니다. 중증근무력증 환자이나 가슴샘검사가 정상인 경우에도 중증근무력증 치료를 위하여 가슴샘절제술을 하게 됩니다. 가슴샘절제술을 하면 중증근무력증 증상이 호전되는데, 이와 같은 효과는수술 후 바로 나타나는 것이 아니고 수개월 또는 수년이 걸린다고 하며, 50-85%의 환자가 증상의호전을 기대할 수 있다고 합니다. 사춘기 이전의 소아 환자나 눈 중증근무력증 환자, 나이가 많은 환자의 경우에 수술을 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아직도 논란이 있습니다. 모든 환자가 수술을 해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수술 시기는 빠를수록좋다고 하며 많은 전문가들이 발병 3-5년 이내에 수술을 하는 것을 추천하고 있습니다.
3. 면역요법
중증근무력 치료법에는면역기능을 억제시키는 면역요법도 있습니다.
1) 스테로이드(steroids)
프레드니솔론(prednisolone)이 가장 많이 이용되는 스테로이드 약물입니다. 이약물은 가장 저렴하고 효과적이며 효과도 빨리 나타납니다. 보통 고용량으로 시작하고 차츰 용량을 줄여나가게됩니다. 부작용으로는 골다공증, 체중 증가, 부종, 혈당 상승, 혈압상승, 녹내장, 백내장, 쉽게멍이 들거나 정신과적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2) 아자치오프린(azathioprine) 및 그 외 면역억제제
아자치오프린은 단독또는 스테로이드와 함께 투여됩니다. 처음 복용할 때 감기와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고 백혈구 감소, 간독성, 탈모가 발생할 수 있으며 기형이나 악성종양의 위험이 증가됩니다. 그 외 사이클로스포린(cyclosporine), 마이코페놀레이트모페틸(mycophenolate mofetil), 타크로리무스(tacrolimus)와같은 면역 억제제를 쓸 수 있습니다.
3) 혈장분리교환술
혈장분리교환술은 치료효과가 빠르기 때문에 증상이 아주 심해서 호흡마비나 중증근무력증 위기 증상이 있을 경우 선택되는 방법입니다. 굵은정맥에 주사바늘을 삽입하여 혈액을 빼내고 특별한 필터를 장착한 기계를 통하여 걸러 내어 혈액, 즉 혈장에포함된 병원성 항체를 제거한 다음 다시 혈관 내로 돌려보내는 방법입니다.
4) 면역글로불린
혈장분리교환술과 마찬가지로심한 중증근무력증 증상이 있을 때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면역글로불린을 정맥주사하는 방법으로 혈장분리교환술에비하여 특별한 장비가 필요하지 않고 투여가 쉽기 때문에 최근 선호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