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리 꼬는 습관이 허리 망친다
걷기 불편할 정도로 다리가 아프거나 마비감이 느껴질 때, 허리를 앞으로 숙이면 좋아진다면 척추관 협착증을 의심해 볼 수 있다.
척추관 협착증은 선천적 요인, 노화, 다리 꼬는 습관 등에서 오는 잘못된 자세가 원인이 되어 주위의 인대나 뼈가 커져 신경을 압박하여 나타난다. 주로 50대 이후에 발생하는 질환이다.
허리 아프면 무조건 디스크?
척추관 협착증은 흔히 허리 디스크라고 불리는 추간판 탈출증을 혼동하곤 한다. 허리 디스크는 추간판에 의한 신경 압박의 증상으로 통증이나 다리 당김 등 방사통이 주로 한쪽에서 많이 나타나고 비교적 젊은 층에서 많이 발생한다.
하지만 척추관 협착증은 뼈나 인대가 두꺼워지면서 서서히 발생하는 질환으로 활동을 하지 않으면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다. 많이 걸으면 다리가 점점 뻣뻣해지고 마비가 오는 증상이나 통증, 다리 당김 등 방사통이 양쪽에서 주로 나타나며 활동하지 않는 경우 증상이 전혀 나타나지 않기도 한다.
감압술 또는 유압술로 치료
척추관 협착증 초기에는 약물이나 주사 등 보존적 치료가 가능하지만, 효과나 반응이 미미하거나 없는 경우 수술적 치료를 고려해 볼 수 있다. 수술적 치료는 좁아진 신경의 통로를 넓혀 주어 눌려 있는 신경이 다시 자유로워지도록 하는 것으로 '감압술'이라고 한다.
퇴행성 변화가 너무 심하면, 뼈와 인대뿐만 아니라 척추 관절을 함께 제거해야 충분한 감압이 되는 경우도 있다. 이럴 때 척추가 불안정해질 수 있어 안정시켜주는 수술을 함께 시행해야 한다.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척추 마디를 나사못으로 고정하고 뼈를 이식해서 한 개처럼 만들어 수술하는데, 이를 '유합술'이라고 한다.
유합술을 시행하면 척추가 못 움직이는 것 아닌가 걱정하는데 주변의 다른 척추 마디들이 어느 정도 보상을 해주기 때문에 움직임에 큰 불편은 없다. 수술할 때 넣었던 나사못 또한 특별히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다면 빼는 수술도 필요하지 않다.
상계백병원 척추센터 임동주 교수는 "척추관 협착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의자에 앉을 때 엉덩이를 최대한 끝까지 집어넣고 허리를 꼿꼿하게 세우는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며 "다리를 꼬는 습관이 있다면 5분 또는 10분마다 다리를 바꿔 주는 것이 좋고 틈틈이 스트레칭을 해주는 것 또한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사진=Twinsterphoto/shuttersto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