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철 불청객 '한랭 두드러기' 해결법은?

겨울철 불청객 '한랭 두드러기' 해결법은?

날이 추워지면 호흡기질환과 심장질환 위험률이 높아진다. 피부에도 문제가 생기는데, 대표적인 겨울철 피부질환은 '한랭 두드러기'다.

날이 쌀쌀해지면 팔과 다리에 두드러기가 생겨 불편을 겪는 사람들이 늘어난다. 차가운 공기에 피부가 노출돼 생기는 한랭 두드러기 탓이다. 외부에 노출된 부위를 중심으로 두드러기가 올라오는데, 기온이 많이 떨어져 증상이 심해지면 숨이 가빠오고 두통이 생기기도 한다.

찬물이나 얼음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한여름에도 찬물로 샤워를 하면 두드러기가 생길 수 있다. 하지만 매일같이 바깥 차가운 공기를 쐬는 겨울만큼 한랭 두드러기가 두려운 시기는 없다. 

겨울철 바깥 활동을 하고 실내에 들어왔을 때 주로 두드러기가 난다. 추위에 노출된 동안보다는 노출 후 몸이 다시 더워질 때 생긴다는 것이다. 두드러기가 나는 데서 그치면 그나마 다행이지만 호흡곤란, 빈맥, 저혈압, 두통 등이 동반될 수도 있다. 찬물 샤워나 냉수욕, 수영 등으로 전신이 추위에 노출되면 치명적인 쇼크반응이 올 수도 있다.

한국건강관리협회 서울강남지부 건강증진의원에 따르면 한랭 두드러기는 환자들의 생명에 영향을 주는 질환은 아니다. 하지만 심하면 쇼크가 일어날 수 있어 일상생활에 일으키는 불편이 매우 크다. 한겨울 외출 시 찬 공기가 피부에 직접 닿지 않도록 방한구를 철저히 착용해야 하는 이유다.

한랭 두드러기의 원인은 아직 불분명하다. 유전성이 원인인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은 후천적으로 발생한다. 다른 전신질환이나 한랭반응단백에 동반돼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소아보다는 성인에게 많고 어렸을 때는 없다가 성장한 이후 나타나는 경우도 있으므로 어렸을 때 한랭 두드러기가 없었다고 해서 성인이 된 이후에도 없을 것이라고 보장할 수는 없다.

한랭 두드러기가 있는지 진단하려면 얼음을 피부에 접촉시킨 후 두드러기가 발생하는지 확인하는 유발 검사를 시행한다. 환자의 동반증상, 가족력에 따라 한랭반응단백 등의 혈액검사, 동반 전신질환을 위한 검사 등을 선별적으로 시행할 수도 있다.

검사 결과, 한랭 두드러기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일반적인 두드러기 치료를 진행한다. 반복적이고 점증적인 추위 노출을 통한 탈감작 치료를 하기도 한다. 탈감작은 알레르기 유발물질을 아주 소량 노출시키고 점차 그 양을 증가시켜가는 방법이다. 점진적으로 낮은 기온에 인위적으로 신체를 노출시켜 증상을 치료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렇게 치료를 해도 약 50%는 수년간 증상이 지속돼 나타난다. 따라서 평소 습관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가급적 추위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노출 부위는 보온한다. 찬물이나 에어컨 등의 과도한 작동은 증상을 심화시키므로 피해야 한다. 보온은 위해서는 두꺼운 옷 한 겹보다 얇은 옷 여러 겹이 좋다.

알레르기 유발물질이 함유된 음식을 먹지 말고, 두드러기가 난 부위는 손으로 만지거나 긁지 않는다. 물을 많이 마셔 몸의 독소를 배출해주고, 운동이나 목욕으로 땀을 흘린다. 스테로이드 연고를 사용할 땐 전문의와의 충분한 상담으로 사용 여부를 결정한다.

[사진=KanphotoSS/shutterstock]

    문세영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4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