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심증과 심근경색, 차이점과 예방법
협심증과 심근경색증은 심장동맥의 동맥 경화(단단하게 굳어짐) 때문에 발생하는 질병이라는 점에서는 공통점이 있지만 같은 병은 아니다. 그렇다면 협심증과 심근경색증은 어떻게 다를까. 또 그 발병 원인과 증상, 예방법은 무엇일까.
◇혈액 공급 부족과 차단
협심증과 심근경색증은 모두 심장 근육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에 동맥 경화로 인한 협착증이 심해져 생기는 질병이다.
협심증은 협착증으로 인해 혈액 공급이 원활하지 못하여 가만히 있을 때에는 괜찮다가도 계단을 오르거나 무거운 짐을 들고 걷거나, 과식 후에 심장 근육이 일을 많이 해야 할 때에 가슴 통증이 생기는 질환이다.
이에 반해 심근경색증은 관상동맥에 협착증이 있다가 어느 날 갑자기 관상동맥 내에 혈전이 생겨 기존에 좁아져 있던 협착증 부위를 꽉 막음으로써 혈액 공급이 완전히 차단되어 생기는 질환이다.
협심증에서는 심한 운동 시에만 혈액 공급이 부족하여 흉통이 생기게 되지만, 심근경색증에서는 혈액 공급이 완전히 차단되므로 가만히 쉬어도 통증이 없어지지 않고 지속된다.
심장 근육으로의 혈액 공급이 완전히 차단된 상태가 30분 이상 지속되면 심장 근육이 손상을 입게 되고 6시간~12시간이 지나게 되면 혈액 공급이 차단된 부위의 심장 근육은 영구적으로 손상을 입게 된다.
◇조기 검진 필수
협심증에 의한 가슴 통증은 주로 운동 시에 발생하고 가슴 좌측 또는 중앙부에서 뻐근한 통증을 느끼며 턱이나 왼팔을 따라 사방으로 내뻗치는 방사통이 생기기도 한다.
초기에는 운동량이 많아야 가슴 통증이 발생하지만 점차 적은 운동에도 가슴 통증이 발생하게 된다. 대개 움직이지 않고 휴식을 취하면 수 분 내에 자연 소실되며 니트로글리세린(혈관 확장제의 일종)을 혀 밑에 넣거나 뿌려주면 빨리 회복된다.
당뇨병 환자나 고령인 경우 신경이 둔해져 초기에 통증을 느끼지 못하다가 중증으로 진행된 후에야 발견되는 경우가 있어 심혈관 질환의 위험성이 높은 경우 운동부하 심전도 검사 등 조기 심장 검진이 필요하다.
심근경색에 의한 가슴 통증은 앉아있거나 자다가도 갑자기 발생하며 30분 이상 지속되고 참을 수없이 극심한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응급실로 오게 된다.
하지만 고령의 환자 중에는 진통제 등을 복용하고 참다가 결국 심부전 상태가 되어 호흡 곤란과 부종 증상으로 병원에 오게 되는 경우도 허다하다. 만일 잠시라도 심한 가슴 통증을 느꼈다면 지체 없이 의사를 찾는 게 좋다.
비타민C, 비타민E, 엽산, 항산화제 등의 투약은 심혈관 질환의 예방 효과가 입증되지 않았으나 신선한 채소와 과일, 견과류 위주의 식단은 예방 효과가 입증돼 있다. 오메가-3는 중성지방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
중성지방 수치가 150mg/dL이상일 경우 심혈관 질환의 예방 목적으로 의사와 상의하여 투약을 고려해 볼 수 있다. 폐경기 여성의 경우 갱년기 증상의 완화나 골다공증의 치료 목적으로 여성호르몬을 장기 복용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이는 심혈관 질환의 예방에 도움이 되지 않고 오히려 뇌혈관 질환이나 정맥 혈전증, 유방암 등을 증가시킬 수 있어 2004년 이후 미국 식품의약국(FDA)과 심장학회에서는 복용을 금지하고 있다.
한국건강관리협회 서울동부지부 건강증진의원 박정범 원장은 “심장 질환이나 돌연사는 중, 장년층뿐만 아니라 30대, 20대 젊은 층까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며 “균형 잡힌 식사, 규칙적인 운동, 표준체중 관리 등 좋은 생활습관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고 가벼운 통증이라도 무심코 넘기지 말고 심장과 관련된 보다 정밀한 검사를 통해 조기 발견에 신경을 써야 한다”고 말했다.
[사진=아이클릭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