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HD 약, 효과 있을까?
아이가 ADHD(과잉 행동 장애)로 진단 받게 되면 부모는 가장 먼저 약을 처방 받아야 할지를 고민한다. 누군가는 ADHD 약 부작용이 심각하다고 말하고, 또 누구는 약을 먹고 나서 아이가 놀라울 정도로 좋아졌다고도 한다.
과연 ADHD 약은 효과가 있을까? 대부분의 전문의는 ADHD의 경우 명백한 질병으로 분류되며, 검증된 약물을 장기 복용하는 것이 행동 증상 개선과 뇌 보호, 뇌 기능 정상화 등에 효과를 보인다고 설명한다.
2013년 하버드 대학교 의과 대학 조지프 비더만 교수팀은 ADHD 치료약 메칠페니데이트 투여 결과를 놓고, "약을 먹지 않은 ADHD 아동은 스트레스가 많아 보통 대뇌 피질 두께의 변화나 기능이 저하되는 현상이 있는데 약을 먹은 사람에게는 이런 현상이 없고, 약물이 행동 증상을 일시적으로 억제하는 것이 아니라 뇌세포를 보호하고, 나아가 정상화시킬 수 있다"고 결론지었다.
2014년 하버드 대학교 의과 대학 티모시 윌렌스 교수는 인터넷 뉴스 사이트 '사이 콩그레스 네트워크(Psych Congress Network)'와의 인터뷰에서 "ADHD 약이 장기적인 치료 효과가 있다는 충분한 데이터가 있다"고 말했다. 또 약을 먹지 않는 ADHD 청소년은 종종 학업 실패, 자존감 감소, 반사회적 행동 및 위험 감수 행동 증가로 이어지기 쉽다고 했다.
이와 관련해서 스웨덴에서 2만5656명을 대상으로 대규모 연구를 진행했다. 이 연구에서는 ADHD 약을 먹었던 이들이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범죄율이 남자는 32%, 여자는 41% 감소했다고 나타났다. 연구 결론은 "약물은 ADHD 아이의 뇌의 기능과 구조를 장기적으로 정상화하는데 도움을 주며, 나중에는 ADHD를 가지지 않은 아이와 비슷해질 수 있다"고 발표됐다.
물론 이에 대한 반론도 있다. 2015년 <뉴욕타임스>의 특집 기사에서 캘리포니아 대학교 제임스 스완슨 교수는 "약을 복용하고 초기 3년간은 뇌가 정상화되는데 도움이 되겠지만, 그 이후로도 장기적인 효과가 있는지는 의문"이라고 말했다. 뉴욕 대학교 의과 대학 프랜시스코 하비어 교수도 "약이 전혀 해를 끼치지 않는 것은 확실하지만 뇌를 정상화한다고 결론을 내리려면 더 증거가 필요하다"고 말하기도 했다.
ADHD 분야 미국 최고 전문가 자리에서 은퇴 후 현재 아동 정신 건강을 위한 비영리 연구소를 이끌고 있는 피터 젠슨 박사는 <뉴욕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ADHD 아동을 성공적으로 키운 부모와 면담한 결과 80%가 넘는 경우 아이에 대한 변함없는 애정과 지지를 치료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로 꼽았다"고 밝혔으며, "2위인 약을 꾸준히 복용하는 것과는 큰 차이가 나는 수치였다. 약을 먹이는 것에 상관없이 꾸준히 의사와 상담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충고했다.
이에 대한 의견은 국내 전문가도 동의한다. 약을 먹이지 않는다고 해서 병원을 그만두지 말고, 의사와 꾸준히 상의하다보면 아이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어 감정적으로 대하지 않게 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는 충고다.
최근 강서구에서 특수 학교 설립을 둘러싼 장애아 부모와 집값을 걱정하는 원주민의 갈등이 국민 관심사로 떠올랐다. 장애에 대한 뿌리 깊은 편견에 온 국민이 분노하였다. 편견은 가벼운 문제를 가진 아이도 모두 가장 심한 문제를 가진 아이인 것처럼 대하는 태도를 말한다. 대부분의 장애 아동이 위험하지 않은데 마치 위험한 범죄를 저지를 사람인 것처럼 대한다는 뜻이다. ADHD 약에 대한 편견도 마찬가지다.
가장 심한 문제를 가진 아이만이 약을 복용하는 것이고 가벼운 아이는 약 없이 견뎌야 한다는 생각이 편견이다. 과거 암 수술도 견디다 못해 심해져야만 받는 사람이 많았으나 점차 오히려 초기에 수술하는 것이 경과가 더 좋다는 생각이 널리 퍼지기 시작했다. 요즘 고등 교육을 받은 사람 중에 심해야만 수술 받고 약을 먹는다는 생각을 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