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충제 계란' 쇼크, 막을 수 있었다
정부가 '살충제 계란' 대책을 강력하게 추진하며 사태 진화에 나서고 있다. 하지만 늑장 대응 논란도 일어나고 있다.
현재까지 계란에서 살충제 성분이 초과 검출된 농가는 모두 6곳이다. 계란 껍데기에 '08마리', '08 LSH', '09지현', '08신선', '13정화', '11시온'이라고 표시되어 있다. 4곳은 농장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2곳은 유통 중인 계란에 대한 조사에서 각각 발견됐다.
농림축산식품부와 식품의약품안전처 등 관계 기관은 산란계 농장에 대한 전수 조사, 살충제 검출 계란 전량 폐기, 계란 가격 인상 억제 등 사태 수습을 위한 대응에 나서고 있다. 특히 17일까지 모든 농장에 대한 검사를 완료하고 문제가 없는 계란이 빠르게 정상 유통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하지만 정부의 이런 빠른 조치에도 불구하고 늑장 대응 논란은 커지고 있다. 유럽에서 살충제 계란 논란이 시작되고 나서 열흘 가까이 지난 데다, 국내에서도 이전부터 살충제 사용과 관련된 지적이 있었기 때문이다.
유럽연합(EU)은 지난 7일(현지 시간) 각국에 네덜란드산 계란의 위험성을 알렸다. 네덜란드에서서 수출된 일부 계란에서 살충제 성분인 피프로닐이 검출됐다는 것이다.
피프로닐은 벼록, 진드기, 바퀴벌레를 죽이는데 사용하는 광범위 살충제다. 닭의 경우 밀집해서 키우면 진드기가 기생하기 때문에 살충제를 사용한다. 문제는 살충제 성분이 닭은 물론 계란에도 남아있게 된다는 점이다. 살충제 성분이 남아있는 계란을 섭취하면 사람도 중독될 수 있다.
피프로닐은 한 번에 많은 양이 신체에 유입되면 두통, 호흡 곤란, 설사 등을 일으킨다. 또 적은 양이라도 장기적으로 노출될 경우 콩팥, 간, 갑상선 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유럽에서는 피프로닐을 식용 동물에는 사용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동물 사용에 대한 규정은 없다. 다만 농촌진흥청에 따르면 농약으로 사용되는 피프로닐을 독성이 크지 않은 '4급(저독성)'으로 분류하고 있다.
유럽의 경우, 벨기에 당국이 지난 6월 양계장에서 피프로닐이 사용된 사실을 인지했음에도 한 달이 지나도록 EU 등에 알리지 않아 논란이 더욱 확대됐다.
문제는 지난 10일 류영진 식약처장이 유럽의 살충제 계란과 관련해 실태 조사가 마무리되지 않은 상태에서 문제가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는 점이다. 게다가 지난해 국정 감사와 올해 4월 소비자보호연맹의 토론회에서 살충제 사용에 대한 문제 제기가 있었다는 점도 지적되고 있다.
이번 사태가 진정되는 것과 별개로 살충제 사용과 안전성에 대란 논란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