걷기가 왜 힘들까. 중년여성 괴롭히는 무릎 연골판
무리한 운동이나 높은 신발 때문에 무릎에 흔히 발생하는 부상 중 ‘반월상 연골판 파열’이라는 것이 있다. 반월상 연골판이란 허벅지뼈(대퇴골)와 종아리뼈(경골) 사이에 위치한 반달모양의 연골판으로서 관절을 보호해주는 완충역할을 한다.
젊은 시절에는 괜찮으나 나이가 들면 일상생활에서도 쉽게 반월상 연골판 파열이 생길 수 있다. 집에서 청소를 하다가, 걸레질을 하려고 무릎을 굽히다가 ‘뚝’ 하고 통증이 느껴지는 경우가 흔하다.
심지어 길을 가거나, 횡단보도에 발을 내딛거나, 계단을 내려갈 때도 반월상 연골판 파열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요즘처럼 활동이 늘어나는 봄철에는 특히 조심해야 한다.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정형외과 장기모 교수는 “반월상 연골판 파열은 남성보다는 여성에서 더욱 많으므로, 중년 여성이라면 반월연골판 손상에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며 “퇴행성인 경우, 연골이 파열됐더라도 환자들이 ‘뚝’ 하는 느낌을 느끼지 못하는 경우도 많다. 일상생활에서 쉽게 손상이 생길 수 있는 만큼, 무릎에 통증이 있고, 평소보다 무릎이 붓는다면 가볍게 여기지 말고 꼭 진료를 받아야 한다”라고 했다.
중년여성의 반월상 연골판 파열을 치료할 때는 무릎 관절의 퇴행성 관절염이 얼마나 진행되어 있는지, 반월상 연골판의 파열 상태가 만성인지 급성인지를 고려한다. 퇴행성 관절염이 있는 경우, 무릎 통증이 반월상 연골판 파열만으로 발생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젊은 환자에서 발생한 급성 반월상 연골판 파열은 가능하면 봉합수술을 하지만, 중년 이후의 환자 중 퇴행성 관절염이 많이 진행되었거나, 파열이 만성인 경우에는 수술보다는 보존치료를 실시한다. 처음에는 통증을 줄이기 위해 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약물을 사용하고 지팡이, 목발 등으로 무릎에 부하를 줄여 증상을 줄인 다음, 증상이 조금 감소할 때쯤 재활운동으로 하체, 특히 허벅지의 근력을 강화해 퇴행을 늦춘다.
장기모 교수는 “중년 이상의 반월상 연골판 파열은 이미 만성인 경우가 많기 때문에 수술보다는 증상을 조절하며 현재 상태에 적응해나가는 것이 중요하다”라며 “허벅지 및 하체 전반의 근육을 강화시켜 반월상 연골판 및 관절 연골의 부족한 기능을 보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사진출처 : 아이클릭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