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 제약계는 '가슴앓이', 늑장공시부터 최순실까지

2016 제약계는 '가슴앓이', 늑장공시부터 최순실까지

성장통이었을까? 국내 제약계의 2016년은 유난히 악재가 많았던 한 해로 기억될 전망이다. 제약산업을 뒤흔들었던 한미약품 늑장공시 사태부터 고질적인 불법 리베이트, 보툴리눔 출처 논란, 청와대 '의약품 게이트'까지 일년에 한 번도 일어나기 어려운 대형 악재가 끊이지 않았다. 2016년 제약업계의 사건 사고를 정리해봤다.

-- 한미약품의 배신 '늑장공시'

한미약품은 지난해 초대형 기술 수출에 잇따라 성공하면서 국내 제약산업계를 흥분시켰다. 베링거인겔하임과 사노피 등 외국계 제약사에 기술 수출한 금액은 무려 8조원 규모였다.

하지만 한미약품은 올해 9월 8500억 원 규모의 올무티닙 기술 수출 상대였던 베링거인겔하임으로부터 계약 해지를 통보 받고서도 이를 하루 뒤 공개해 소액주주들에게 큰 피해를 입혔다.

검찰 조사 결과 한미약품 일부 직원들은 해당 정보를 미리 알고 주식을 매도한 사실이 드러나 구속영장이 청구됐다. 한미약품은 물론 제약업계 전체의 신뢰도가 동반 추락하는 대형 악재였다.

-- 리베이트, 그리고 김영란법

제약단체와 제약사들의 자정노력에도 불구 올해도 불법 리베이트 문제는 끊이지 않았다. 특히 지난 8월 한국노바티스가 전문 언론사를 이용한 새로운 리베이트 수법으로 의사들에게 수십억의 리베이트를 제공하다 적발됐다.

부정 청탁 및 공직자의 금품 수수를 금지한 김영란법 시행은 의약계에 일대 전환점이 됐다. 김영란법 대상에는 국공립병원 의사, 지방의료원-보건소 의사, 공중보건의사를 비롯해 학교법인 소속 병원의 교수 및 봉직의사까지 포함됐다.

김영란법은 1회에 100만원, 연간 합계 300만원이 넘는 금품을 받을 경우 직무 관련성과 대가성을 묻지 않고 처벌하도록 하고 있다. 식사는 3만원, 선물 5만원, 경조사비 10만원을 상한선으로 정하고 있다.

-- 보툴리눔 균주 출처 논란

때 아닌 보툴리눔 균주 출처 논란도 제약업계를 뒤흔들었다. 균주 출처로 치열한 신경전을 펼쳤던 대웅제약과 메디톡스는 한치의 물러섬이 없었다.

보툴리눔 후발주자였던 대웅제약에 대해 메디톡스가 보툴리눔 균주의 유전자 정보가 같다는 이유로 균주 출처를 밝힐 것을 요구하면서 전쟁이 시작됐다.

균주 출처를 밝히라는 메디톡스의 요구에 대웅제약은 경기도 마굿간 토양에서 균주를 발견했다며 균주는 자연 상태의 균으로, 유전자 정보가 비슷할 수 있고 보툴리눔의 핵심은 균주 출처가 아닌 배양, 정제, 건조 등 기술특허가 핵심이라며 반박했다.

하지만 메디톡스는 대웅제약에게 균주 염기서열을 공개할 것과 공개토론을 갖자고 했지만 대웅제약은 일고의 가치도 없다고 맞섰으며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중재에도 불구하고 법적공방까지 예고했다.

-- 청와대 '의약품 게이트'

최순실 게이트가 터지면서 제약업계에도 불똥이 튀었다. 청와대가 녹십자에서 2년간 미용 목적의 주사제인 태반주사와 감초주사, 마늘주사 등을 2000만원 어치나 사들인 것으로 드러났다.

뿐만 아니라 발기부전 치료제인 비아그라와 팔팔정, 제2의 프로포폴로 불리는 에토미데이트리프로주, 국소마취제인 리도카인 등을 대량 구매했다. 청와대는 이들 의약품 구매와 관련 해외 순방시 고산병 예방과 건강관리 및 응급 의약품 목적으로 구매했다고 해명했지만 의혹은 확산됐다. 청와대가 사들인 제품의 제조사들은 "우연히 청와대에 판매됐을 뿐, 우리와는 무관하다"며 곤혹스러워 했다.

    송영두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