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용 안경, 언제부터 써야 할까?
나이가 들면 뼈와 관절이 약해진다. 신체기관이 조금씩 고장난다는 것이다. 신체기관의 하나인 눈 역시 예외가 아니다. 40대를 넘어서면 안구 수정체의 탄력이 떨어지면서 시력이 나빠지는 ‘노안’이 나타나게 된다. 그렇다면 노안을 위해 쓰는 독서용 안경은 언제부터 껴야 할까.
수정체의 탄력이 감소하면 굴절력이 감퇴해 가까운 거리에 있는 물체를 보는 능력이 떨어지게 된다. 이런 현상을 바로 노안이라고 한다. 노화로 인해 벌어지는 자연스러운 신체변화 중 하나다.
만약 책이나 서류 등 읽을거리를 볼 때 눈앞이 침침하고 흐릿하게 보인다면 노안이 왔다는 증거다. 책을 최대한 멀리 떨어뜨리고 봐야 할 때도 마찬가지다. 독서를 하거나 바느질을 하는 등 근거리에 있는 물체를 봐야 할 때 눈이 아프거나 두통이 느껴져도 노안의 징후다.
이처럼 노안이 왔을 때는 독서용 안경이라고 불리는 노안경을 써야 하는데 이때 몇 가지 고려해야 할 사항이 있다. 일단 안경 렌즈의 굴절력을 나타내는 단위인 디옵터를 체크해야 한다. 본인에게 맞는 도수의 안경을 써야 한다는 의미다. 디옵터의 수치가 커질수록 도수가 센 안경이다.
자신에게 맞는 디옵터를 확인하려면 책을 35~40㎝ 떨어뜨린 상태에서 디옵터가 각기 다른 안경을 착용해, 어떤 안경을 썼을 때 가장 글씨가 잘 보이는지 체크하면 된다.
이 같은 검사를 통해 자신에게 가장 적절한 도수를 찾고, 디옵터의 수치는 가급적 낮은 방향으로 안경을 선택한다.
하지만 이처럼 자가진단을 통해 구입한 안경은 제대로 된 검사를 받고 쓰는 맞춤형 안경만큼 효과가 좋지는 않다. 난시를 교정할 수도 없고, 양쪽 눈의 도수가 다를 때 이를 반영하기도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노화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시력은 수시로 변한다. 1~2년 사이에 도수가 더욱 높은 안경을 껴야 할 수도 있다. 따라서 가급적 안과에 방문해 눈 검사를 제대로 받아보는 편이 좋다. 눈 검사를 받는 과정에서 녹내장을 비롯한 다른 안구질환이 함께 발견될 수도 있으므로 여러 면에서 검사를 받는 편이 좋다.
만약 가까운 거리에 놓인 물체뿐 아니라 먼 거리에 있는 풍경까지 잘 안 보인다면 이럴 땐 이중 혹은 삼중 초점 안경을 선택하는 방법이 있다. 이중 초점 안경은 가까운 거리와 먼 거리를 둘 다 잘 볼 수 있도록 만들고, 삼중 초점 안경은 가까운 거리, 중간 거리, 먼 거리를 조절하는 기능이 있다.
시력이 갑자기 급격하게 바뀌었다거나 어느 곳을 보든 시야가 흐리고 눈 통증이 심하거나 한 물체가 두 개로 보이는 복시 등이 나타난다면 이럴 땐 즉각 안과를 찾는 것이 좋다. 미국안과학회(American Academy of Ophthalmology)에 따르면 노안 검사를 본격적으로 받기 시작하는 시점은 40세다. 또 55~64세는 1~3년에 한 번씩, 65세 이상은 1~2년에 한 번씩 정기적으로 눈 검사를 받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