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대부터 감소.."근육운동이 중요한 이유"
근육이 줄어드는 근육감소증과 함께 비만한(근감소성 비만) 60세 이상 연령층의 경우 당뇨병 유병률이 28%에 달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계명대 동산의료원 가정의학과 서영성 교수팀이 20세 이상 성인 1만5467명의 근감소증과 당뇨병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 이 연구는 2008-2010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자료를 토대로 실시됐다. 근육감소증은 운동 부족, 노화 등으로 근육이 급격히 감소하는 병으로 보행 등 일상생활에 불편을 초래할 뿐 아니라 폐렴 등의 호흡기 질환과 낙상, 골절 등의 원인이 돼 노인의 생명을 위협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서 교수팀은 연구 대상자를 먼저 연령(60세 이상과 60세 미만)으로 구분한 뒤 다시 근감소증, 비만 여부에 따라 모두 8그룹으로 분류했다. 연구결과 60세 미만에선 근감소증이 있는 비만 그룹의 공복혈당장애와 당뇨병 유병률이 각각 25.1%와 10.1%로 가장 높았다. 공복혈당장애는 흔히 ‘당뇨병의 예고탄’으로 통한다.
60세 이상에선 공복혈당장애 유병률이 근감소증이 없는 비만 그룹에서 최고치(29.8%)를 기록했다. 당뇨병 유병률은 근감소증이 있는 비만 그룹이 27.8%로 가장 높았다.
근감소증이 없으면서 비만이 아닌 사람 대비 근감소증이 있는 비만한 사람의 공복혈당장애 발생 가능성은 2.2배에 달했다. 당뇨병 발생 가능성도 근감소증이 없으면서 비만이 아닌 사람에 비해 근감소증이 있는 비만한 사람이 3.3배나 높았다.
서 교수팀은 논문에서 “비만 여부와 상관없이 근감소증이 있으면 인슐린 저항성이 증가했다”고 전했다. 인슐린 저항성은 당뇨병의 ‘씨앗’으로, 높을수록 당뇨병에 걸릴 위험이 커진다. 근육량의 점진적인 감소는 대개 30대부터 시작된다. 40대에서 70대까지 매 10년마다 8%씩 준다. 그 이후엔 매 10년마다 15%까지 감소할 수 있다. 근감소증은 주로 팔, 다리 등 사지에 분포한 골격근의 감소를 뜻한다.
서 교수팀은 논문에서 “골격근은 인슐린의 도움을 받아 섭취한 포도당의 약 2/3를 흡수한 뒤 에너지원으로 쓴다”며 “근감소증은 인슐린 저항성과 제2형(성인형) 당뇨병을 부를 위험이 크다”고 설명했다. 이 연구결과(한국 성인에서 연령에 따른 근감소증과 당뇨와의 연관성)는 대한가정의학회지 최근호에 소개됐으며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이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