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양인과 다른 우리 뇌... "치매 등 뇌 분석에 중요"
우리나라를 포함한 동양인의 뇌는 서양인의 뇌와 다르다. 환경, 유전 등의 요인으로 크기와 형태에서 차이가 크다. 국내 연구진이 ‘한국 노인의 표준 뇌’를 개발해 노인성 뇌질환의 건강대조군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길을 열었다. 특히 뇌질환 연구를 위한 뇌 영상 분석에서 지금까지 서양인의 표준 뇌를 사용하면서 생긴 오차 발생의 위험을 크게 줄일 것으로 기대된다.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김기웅 교수팀은 뇌질환이 없는 60세 이상 정상 노인 96명의 자기공명영상장치(MRI)를 분석해 한국 노인의 표준 뇌를 개발했다고 21일 밝혔다. 연구팀은 뇌의 형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다양한 질환들을 포괄적이고 정밀한 임상 검사를 통해 철저히 배제하는 등 대상을 엄격하게 선정했다.
분석 결과, 예상대로 서양인의 표준 뇌와 한국 노인의 표준 뇌는 크게 달랐다. 좌우 폭의 경우 한국 노인이 약간 넓고, 앞뒤 길이와 상하 높이는 서양인이 크게 길거나 높았다. 이러한 차이를 바탕으로 한국인의 뇌 영상을 분석할 때 서양인의 표준 뇌를 사용하면 발생할 수 있는 오류의 정도를 측정한 결과에서는 많은 왜곡이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기웅 교수는 “치매나 혈관성 우울증 등 노인의 뇌질환과 관련해 표준 뇌를 통한 분석이 매우 중요한데, 한국 노인의 표준 뇌가 없어 정확한 연구 결과를 도출하기 어려웠다”며 “이번 연구를 통해 서양 표준 뇌를 대체할 수 있게 됐고, 한국 노인 환자군만 대상으로 표본DB를 구축했기 때문에 건강대조군으로 활용할 수 있어 향후 연구의 비용 절감과 기간 단축에 큰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세계적으로 사용되는 뇌의 표준판은 60세 가량에 사망한 프랑스 여성들을 부검해 도출된 ‘탈라이라크 아틀리스(Talairach atlas)’이다. 하지만 이 표준 뇌는 대표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는 학계의 비판을 받아왔다. 이에 따라 국제뇌지도협회(ICBM)가 여러 가지 표준 뇌를 만들어왔으나, 이 역시 연령이나 인종 등 표현 그룹의 범주를 제대로 나타내지 못해 사용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특히 크기와 형태 등에서 동양인의 뇌와 차이가 큰 서양인의 표준 뇌를 사용하다보니 진단과 연구 등에서 정보의 손실과 오차 등이 생길 위험이 컸다. 김 교수팀의 이번 연구결과는 대한신경정신의학회지 최근호에 실렸으며, 한국노인의 표준 뇌 자료는 치매극복연구센터 홈페이지에서 무료로 내려 받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