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잘나가는 당뇨병약에 관절통 부작용

요즘 잘나가는 당뇨병약에 관절통 부작용

 

최근 당뇨병 치료제로 가장 널리 쓰이는 DPP-4(인슐린 분비 호르몬 분해효소) 억제제 계열의 혈당강하제에 대한 시판 후 조사에서 중증 관절통이 부작용으로 보고돼 보건당국이 허가사항 변경을 위한 의견조회에 들어갔다. 지난 5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DPP-4 억제제를 복용한 환자의 시판 후 조사에서 약물을 투여한 지 1일 후부터 수년 후까지 다양한 시기에 걸쳐 중증 관절통이 발생한 것으로 미국 FDA에 보고됐다.

이러한 증상은 약물 투여를 중지하면 완화됐고, 일부 환자에서는 복용했던 같은 약이나 다른 DPP-4 억제제를 다시 먹었을 때 증상이 재발한 것으로 전해졌다. 식약처는 “미국 FDA의 안전성 정보를 검토한 결과, ‘중증 및 장애를 동반하는 관절통’을 이상반응에 추가하는 허가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단돼 오는 20일까지 관련 협.단체의 의견을 조회한다”고 밝혔다.

이번 허가사항 변경안에서는 이상반응에 DPP-4 억제제의 중증 관절통 발생을 추가하고, 적절한 경우 투여를 중지하도록 일반적 주의사항에 포함시켰다. 현재 국내에 출시된 DPP-4 억제제 계열 성분은 7종으로, 국내외 38개사가 165개 품목을 허가받았다. 대표적으로 ▲한국베링거인겔하임의 트라젠타(리나글립틴) ▲한독의 테넬리아(테네리글립틴) ▲JW중외제약의 가드렛(아나글립틴) ▲한국MSD의 자누비아(시타글립틴) ▲한국노바티스의 가브스(빌다글립틴) ▲LG생명과학의 제미글로(제미글립틴) ▲동아ST의 슈가논(에보글립틴) 등이 있다.

DPP-4 억제제는 인슐린 분비 조절 호르몬인 인크레틴을 분해시키는 DPP-4라는 효소를 억제해 혈당을 낮추는 치료제다. 혈당 수치가 증가했을 때만 작용해 상대적으로 설포닐우레아와 같은 인슐린 분비 촉진제보다 저혈당의 위험이 적다. 이 때문에 간에서 포도당 합성을 억제하는 전통적 치료제인 메트포르민과 병용해 많이 쓰이고 있으며, 현재 2형 당뇨병 치료제 시장의 절반 이상을 점유할 만큼 강세를 띠고 있다.

    배민철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