같은 뇌졸중도... 어디 사느냐 따라 생사 갈려

같은 뇌졸중도... 어디 사느냐 따라 생사 갈려

 

우리나라 뇌졸중 전문치료실 설치율의 지역 불균형이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17일 대한뇌졸중학회가 발표한 국내 뇌졸중 진료 병원 현황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전국 140개 병원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44.6%인 62개 병원이 뇌졸중 전문치료실을 운영하고 있으나, 이 중 58%에 달하는 36개 치료실이 수도권에 집중됐다.

17개 권역별 분포를 살펴보면 인구 100만명당 뇌졸중 전문치료실 설치율은 서울이 2.01개 이상으로 가장 높았고, 대구와 제주 권역이 1.51-2개소, 인천, 경기, 강원, 대전, 광주, 전남, 경남이 1.01-1.5개소로 그 뒤를 이었다. 부산과 충북 권역은 0.51-1개소였으며, 울산과 경북, 충남 지역은 0-0.50개소를 기록해 지역별로 심한 격차를 보였다.

이번 조사에서 대부분의 병원은 뇌졸중 전문치료실의 필요성과 효과를 인정했다. 하지만 인적 자원 부족(78.4%), 별도 수가 부재(64.0%), 공간 부족(44.6%) 등 행정적, 경영적 요인이 전문치료실 설치와 운영을 가로막는 걸림돌로 나타났다.

뇌졸중으로 인한 사망률에서도 지역간 격차는 여실히 드러났다. 학회가 전국 251개 시군구의 3년(2011-2013년)간 평균 뇌졸중 사망률을 분석한 결과, 전국 17개 권역을 기준으로 평균 사망률이 가장 낮은 지역과 가장 높은 지역은 인구 10만명당 27명인 제주특별자치도와 44명인 울산광역시로 약 1.6배의 차이를 보였다.

군과 구를 기준으로 분석하면 지역간 사망률 차이는 더 커졌다. 사망률이 가장 낮은 서울시 서초구는 10만명당 19명을 기록한 반면, 가장 높은 경상남도 고성군은 57명에 달해 편차가 최대 3배나 됐다.

뇌졸중학회 정진상 이사장은 “세계적으로 뇌졸중 전문치료실을 확대해 정맥 내 혈전용해제 투여와 동맥을 통한 혈전제거술 시행 등 최신 의료 기술을 활용한 초급성기.급성기 치료 효과를 높이려는 적극적인 노력이 이뤄지고 있다”며 “뇌졸중 전문치료실의 지역 불균형은 의료 서비스의 격차를 유발하고 궁극적으로 환자의 치료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적극적인 개선 노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실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서 발표한 우리나라 보건체계에 대한 질평가 보고서(OECD Health Care Quality Review)에 따르면 국내 뇌졸중 치료 실적은 OECD 국가 중 상위권이나 다른 국가에 비해 뇌졸중 발생률과 사망률이 높았다.

OECD 보고서는 뇌졸중 전문치료실 부족과 뇌졸중 발생 후 적절한 의료시설로 이송 지연, 낮은 정맥혈전용해술 치료율, 지방과 대도시간 치료 수준의 격차, 뇌졸중 환자의 높은 자기 부담금 등을 주된 문제점으로 지적한 바 있다. [사진=대한뇌졸중학회 홈페이지 화면 캡처]

    배민철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