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 얼굴 잘 기억 못하는 건 머리 나쁜 탓?
유전적 소인 작용
사람 얼굴을 잘 기억하는 것은 사회생활을 원만하게 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기술 중 하나다. 그래서인지 사람 얼굴을 잘 기억하지 못할 때 흔히 ‘기억력이 나쁘다’며 머리를 탓한다. 하지만 얼굴을 인지하는 것은 머리의 좋고 나쁜 때문이 아니라 유전적 요인이라는 연구결과가 있다.
중국 베이징사범대학과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 공동 연구팀은 7~19세 일란성 쌍둥이 102쌍과 이란성 쌍둥이 71쌍을 대상으로 사람 얼굴 기억능력과 유전적 특성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했다. 일란성 쌍둥이는 유전자가 100% 일치하지만 이란성 쌍둥이는 보통 50%정도 같아 일란성 쌍둥이들의 반응이 비슷하다면 사람 얼굴 기억능력에 대한 유전적 소인을 유추할 수 있다.
연구팀은 실험 참여자에게 흑인과 백인의 얼굴 사진 20장을 컴퓨터 화면으로 1초 간격으로 보여줬다. 그런 뒤 10장의 사진은 앞서 봤던 얼굴, 20장은 새로운 얼굴로 다시 섞어 보여주고 앞서 봤던 얼굴을 골라내도록 했다.
그 결과, 일란성 쌍둥이들은 이란성 쌍둥이에 비해 낯선 얼굴과 낯익은 얼굴을 구별해내는 점수가 아주 비슷했다. 즉, 얼굴 기억능력은 유전적 소인이 강하게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 것이다.
지능지수(IQ)의 개념은 한 가지를 잘하면 다른 것도 다 잘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수학을 잘하는 사람은 언어와 역사도 잘할 가능성이 더 높다는 것. 그러나 몇몇 인지능력은 IQ가 아닌 유전적인 영향을 더 많이 받는다. 숫자나 음악에 밝은 사람이라도 특별 유전자 때문에 사회적으로나 언어적으로 평균보다 뒤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연구팀의 지아 리우 교수는 “이번 연구는 얼굴 알아보는 능력에 한정했지만 앞으로 언어 처리 과정, 숫자 이해 같은 인지능력도 유전적 소인을 나타내는지 연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런 내용은 미국 과학논문 소개사이트 유레칼러트 등에 실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