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년 여성 70% 폐경 증상에도 병원 안 찾아
우리나라 중년 여성 10명 중 7명은 안명홍조 등 폐경 증상이 나타나도 산부인과를 찾지 않는 것으로 조사됐다. 상당수는 병원 치료 대신 운동과 식이요법만으로 폐경 증상을 완화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폐경학회는 폐경 증상과 호르몬 치료에 대한 우리나라 여성들의 인식 변화를 추적하기 위해 지난 2010년에 이어 5년 만에 전국의 45세부터 65세까지 여성 233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대규모 조사 결과를 지난 6일 발표했다.
조사 결과를 보면 폐경 증상을 개선하기 위해 폐경 여성들이 가장 많이 선택한 치료 방법은 식이요법과 운동(36.5%)이었으며, 호르몬 치료(19.7%), 건강기능식품(11.4%) 등의 순이었다.
응답자의 65% 이상이 폐경 증상은 치료가 필요한 질환이라고 생각했고, 70%가 치료를 위해 산부인과에 가볼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그러나 폐경 증상 때문에 산부인과를 찾은 사람은 30%에 그쳐 치료 필요성에 대한 인지가 행동으로 잘 이어지진 못했다.
산부인과를 방문하지 않는 이유로는 운동 등 생활습관을 먼저 개선하겠다는 응답이 38.2%로 가장 높았다. 42.8%는 식이요법과 운동 등 생활습관 개선이 평소 폐경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그렇다면 실제 식이요법과 운동 등 생활습관 개선이 호르몬 치료보다 폐경 증상을 개선하는 데 효과적이었을까. 폐경 증상 개선 효과에 대한 만족도는 식이요법과 운동을 한 여성군(59.8%)보다 호르몬요법군(76%)이 16%P 더 높게 나타났다.
호르몬 치료에 대한 인식에서는 폐경 여성의 29.9%만이 긍정적으로 인식했고, 병원에서 호르몬치료제를 처방 받는 것이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는 비율도 29.2%로 비교적 낮았다. 실제 폐경 증상 개선을 위해 호르몬치료제를 처방 받은 경우도 19.7%에 그쳤다.
5년 전 폐경 여성 570명을 상대로 한 조사에서도 전체 응답자의 20.6%만이 의사와 상담 후 호르몬치료제를 처방 받았다고 답해 호르몬치료제 처방 비율에는 변화가 없고 인식도 여전히 부정적이었다.
호르몬 치료에 부정적인 이유로는 질 출혈, 체중 증가, 유방 압통과 같은 부작용에 대한 우려와 암 발생에 대한 두려움이 전체의 77%(2010년), 88%(2015년)를 차지해 호르몬치료제를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원인도 5년간 큰 변화가 없었다.
대한폐경학회 이병석 회장은 “호르몬 치료에 대해 폐경 여성들이 인식하는 위험도는 실제 위험도에 비해 과대평가돼 있다”며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호르몬 치료제 외에도 최근 안전성을 높인 호르몬 치료제가 새롭게 출시돼 폐경 증상 치료의 옵션이 한층 넓어졌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