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연정책 저소득-40대 이하 먼저 지원 필요

 

흡연자 중 저소득층과 40대 이하 연령층을 우선 지원하고, 만성질환자와 평소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계층으로 점차 확대하는 등 금연 정책의 맞춤형 접근이 필요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은 최근 금연과 삶의 질의 연관성을 확인한 국제공동연구를 통해 흡연자보다 금연성공자의 삶의 질이 더 높았다며, 이 같이 제언했다. 연구원은 지난해 2월 영국 국립보건임상연구원(NICE)과 양해각서를 체결해 담배규제정책과 금연지원 프로그램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정책평가 도구를 개발하기로 한 바 있다.

연구원은 지난 2010-2012년까지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에서 19세 이상 성인 17303명을 흡연상태에 따라 흡연자와 금연 성공자, 비흡연자로 나눠 금연 성공자와 흡연자 집단을 비교했다. 또한 성별과 연령, 소득, 교육수준 등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만성질환 유무, 스트레스 인지 정도 등 건강관련 특성을 분석해 금연성공과 건강관련 삶의 질 지수의 연관성을 확인했다. 건강관련 삶의 질 지수는 운동능력과 자기관리, 일상 활동, 통증과 불편, 불안과 우울 등 5개 영역을 수치화했다.

그 결과, 금연 성공자의 삶의 질은 현재 흡연자보다 높아 금연이 흡연자의 삶의 질 개선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흡연자와 금연 성공자 집단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에서는 흡연자 집단에서 40세 미만, 저소득층, 평소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사람, 만성질환자의 비율이 금연 성공자 집단보다 높은 분포를 보였다.

연구원측은 “이번 연구를 통해 영국 NICE의 금연정책 평가 모델을 국내에 적용시켜 금연정책 시행의 효과를 측정해보려 했으나, 이와 관련된 분석 자료가 제한적이었다”며 “향후 담배규제정책의 실효성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흡연자와 흡연으로 인한 질병 발생환자의 삶의 질과 국가 및 지역 단위의 금연 프로그램 비용, 금연 프로그램 참여율과 이에 따른 금연 성공률 등 국내 추가적인 자료원 구축이 필요하다”고 했다.

최근 우리나라는 담뱃세 인상, 금연구역 확대, 담뱃갑 경고그림 도입 등 담배규제정책을 본격적으로 강화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관련 정책의 효과 평가를 위한 노력은 미흡한 실정이다. 연구책임자인 이성규 부연구위원은 “지금까지 금연성공 시 질병 예방과 담뱃값 절약 등을 기대효과로 꼽았다면, 이번 연구는 금연을 통한 삶의 질 개선 효과에 대한 과학적 근거를 제시했고, 이와 연계해 우리나라 흡연자의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금연 지원 우선순위 대상을 구분한 데 의의가 있다”고 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지난 3월 열린 제16회 세계금연학회에서 발표됐다.

    배민철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