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스보다 위험” 야생진드기병 올 첫 사망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가 국내에서 한 달 넘게 유행하고 있는 가운데 또 다른 바이러스 질환인 SFTS(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로 인해 75세 남성이 10일 숨졌다. SFTS의 올해 첫 사망자가 나온 것이다.

참진드기(야생진드기)에 물려 발생하는 SFTS는 2013년 36건(17명 사망), 2014년 55건(16명 사망) 등 2년간 33명의 사망자가 나왔다. 올해에는 현재 8건이 발생해 제주에서 1명이 사망했다. 따라서 국내에서의 치사율은 SFTS가 오히려 메르스보다 높다. 2013년 치사율은 50%에 가깝다. 국내 메르스 치사율은 14.5%(19일 현재)를 기록하고 있다.

최근 3-4년 사이에 국내에서 처음 환자가 생긴 바이러스성 질환은 4가지나 된다. 뇌에 치명적인 손상을 입히는 뇌염의 일종인 ‘웨스트 나일 바이러스(West Nile virus)’가 2012년, SFTS와 CHIKF(치쿤구니야열)가 2013년, 그리고 올해 메르스-코로나바이러스가 발생했다. 매년 강력한 바이러스성 질환 주의보를 내려야 할 판이다.

이들 바이러스성 질환은 닮은 점이 많다. 갑작스런 고열이나 호흡기 질환 증상, 온몸이 쑤시는 듯한 증상 등이 그 것이다.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은 메르스는 병원, SFTS는 야외에서 주로 걸리지만 비슷한 점이 의외로 많다고 했다.

특히 발병 초기에 감기ㆍ독감이나 설사 등 식중독 증상을 보인다는 것이 비슷하다. 따라서 열이 나고 설사 등의 증세를 보이면 메르스 관련 병원을 다녀왔는지, 최근에 야외활동을 한 적이 있는지를 잘 살펴야 한다는 것이다.

상태가 악화되면 SFTS 환자도 메르스 환자처럼 폐렴으로 발전한 뒤 다(多)장기 부전으로 숨질 수 있다. 사람과 사람 간 전파가 가능하다는 것도 같다. 방호장비 없이 SFTS 환자의 혈액이나 체액을 만지면 감염될 수 있다.

SFTS의 2차 감염이 환자와 긴밀 접촉한 의사ㆍ간호사 등 의료진이나 가족을 통해 확산된다는 것도 메르스와 비슷한 점이다. 환자의 기관지에 관을 집어넣는 의사, 환자를 진료하는 의사, 숨진 환자의 몸을 염하는 사람 등이 SFTS에 감염되기 쉬운 고 위험군이란 것도 메르스와 닮았다.

바이러스 감염 뒤 증상이 나타나기까지 걸리는 시간, 즉 잠복기도 메르스는 2~14일, SFTS는 6~14일이다. 증상이 고열기→위험기(폐렴과 다발성 장기부전 등)→회복기 등 3 단계로 진행되는 것도 유사하다.

게다가 메르스(2012년)와 SFTS(2006년)는 첫 환자가 나온지 아직 10년도 안 된 신종 바이러스 질환이다. 또 둘 다 예방백신과 치료제가 없다. 두 질환의 병원체(바이러스)가 모두 자신의 구조를 쉽게 바꾸는 RNA 바이러스여서 이를 정확하게 겨냥해 없애는 특효약을 개발하기 힘들다.

SFTS 치료도 메르스 치료처럼 드러난 증상을 줄여주는 대증요법 위주다. 메르스 환자에게 사용하는 바이러스 치료제인 리바비린(ribavirin)을 SFTS 환자에게도 처방하지만 그 효과가 불분명하다는 것까지 두 질병이 닮은꼴이다.

심지어 환자의 사이토카인 폭풍(cytokine storm, 면역물질인 사이토카인이 과다하게 생성돼 나타나는 부작용)을 막기 위해 혈장 교환 치료와 스테로이드 약물 치료를 시도한다는 것도 같다.

물론 다른 점도 많다. 메르스 바이러스의 매개 동물이 박쥐와 단봉낙타라면 SFTS는 작은소참진드기가 옮긴다. 바이러스의 종류도 다르다. 메르스는 주로 비말 감염을 통해 전염되는 데 비해, SFTS는 SFTS 바이러스에 감염된 진드기에 물리면 걸린다.

    김용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