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 깜박, 얼굴 실룩... 틱 장애 원인과 치료법

 

아이가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눈을 깜빡거리거나 안면근육을 실룩거리는 경우가 있다. 갑자기 소리를 지르며 욕을 하거나 헛기침을 자주하고 같은 말을 반복한다. 이런 증상을 보인다면 틱 장애(tic disorder)를 의심해 봐야한다. 틱 장애 환자들은 스트레스에 민감하다. 이는 어린이도 예외가 아니다. 부모가 자녀의 틱 증상을 오해해 벌주려 한다면 오히려 정서적으로 불안해져 증상이 악화될 수 있다. 하지만 심리적인 원인만으로 틱이 발생하는 것은 아니다. 스트레스는 악화요인으로 보는 게 옳다.

- 틱의 증상과 특징

아동이나 청소년들에게서 나타나는 틱 장애는 성장이나 학습, 교우관계 등에 악영향을 끼친다. 틱은 6,7세에 가장 많이 발병하고 빠른 경우 4세 이전부터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주로 학교에 들어갈 즈음이나 사춘기에 증상이 심해진다. 많이 긴장하거나 혼이 나는 상황에서도 증상이 악화된다. 이는 스트레스에 취약한 틱의 특징을 그대로 보여주는 것이다.

- 틱의 원인

틱 장애의 원인은 유전적인 요인, 뇌의 구조적/기능적 이상, 뇌의 생화학적 이상, 호르몬, 출산 과정에서의 뇌손상이나 세균감염과 관련된 면역반응 이상, 심리적 요인 등과 관련이 깊다. 한국건강관리협회 서울동부지부 건강증진의원 박정범 원장은 “스트레스와 같은 심리적 요인은 틱의 증상을 악화시켜 우울증이나 성격 변화와 같은 바람직하지 못한 결과를 초래하기도 하기 때문에 아이들의 스트레스를 줄여주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라고 조언했다.

- 틱의 치료

약물치료 : 현재까지는 임상적으로 문제가 되는 중등도 이상의 틱 장애 치료에 약물치료가 가장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다. 일과성 틱 장애가 아닌 만성 틱 장애, 뚜렛병의 경우에는 대개 약물 치료가 시행된다. 약물 치료 기간은 환자의 증상 호전 정도에 따라 다르지만, 대개 12~18개월 정도 복용한 뒤에는 양을 줄이기도 한다. 틱은 분명 만성적인 질병이지만 전체적으로 예후는 좋은 편이다. 음성 틱은 완전히 사라지는 경우가 많고 근육 틱 역시 호전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인지행동치료 : 아동 스스로가 틱에 대한 두려움을 없애고 조절하는 방법을 습득하도록 도와야한다. 틱은 어느 정도는 참을 수도 있으므로 상황에 따라 틱을 조절할 수도 있다. 이완훈련과 반대로 근육을 수축시키는 훈련 등도 틱 치료에 효과를 볼 수 있다.

동반질환에 대한 치료 : 부적응적인 행동과 생각을 교정하며 긍정적으로 사고하는 방법과 문제에 대한 대처전략을 배울 수 있다.

    김용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