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톱의 거스러미, 왜 못 뜯어 안달이 날까

손톱의 거스러미, 왜 못 뜯어 안달이 날까

 

손톱에서 거스러미(손톱 가장자리에 가시처럼 일어난 부분)를 발견하면 당장 잡아 뜯고 싶은 기분이 든다. 냉큼 잘라내고 싶지만 손톱깎이가 없으면 계속 눈에 거슬리고 신경이 쓰인다.

성격이 급한 사람은 결국 맨손으로 잡아 뜯는다. 잘못하면 통증이 생기고 피가 날 수도 있지만 뜯겨나가는 순간만큼은 기분이 좋다. 왜 이렇게 거스러미를 뜯어내지 못해 안달이 나는 걸까. 나중에 손톱깎이로 잘라도 되는데 상처까지 감수하면서 뜯어내는 데는 분명 이유가 있을 것이다.

미국의 피부과 전문의 휘트니 바우 박사에 따르면 ‘해방감’이 들기 때문이다. 찰나의 해방감이 쾌감을 불러일으키기 때문에 통증이 올 수도 있다는 사실을 알면서도 이와 같은 행동을 한다는 것이다.

또 다른 이유는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찾았다는 느낌 때문이다. 거스러미나 딱지, 뾰루지는 일종의 ‘문제점’이고, 떼어내거나 짜내는 행동은 ‘해법’이 된다는 것이다.

불안감 역시 이러한 행동을 하는 원인이 된다. 바우 박사는 미국 여성건강지 우먼즈헬스를 통해 “사람들은 불안감을 느낄 때 특정 행동을 통해 기분을 완화하려 한다”며 “뾰루지를 짜거나 딱지를 떼어내는 행동이 해소 방법이 된다”고 말했다.

불안하고 초조할 때 담배를 태우는 사람이 있는가하면 머리카락을 꼬는 사람이 있고 물건을 계속 만지작거리는 사람이 있다. 딱지를 뜯는 행위도 이 같은 불안 심리에서 비롯된 행동일 수 있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런 행동은 어떻게 고칠 수 있을까. 사실상 고치기가 쉽지는 않다. 이러한 행동을 통해 즐거움이나 안정감을 느끼기 때문에 안 좋은 습관이라는 것을 알면서도 바로잡기가 어렵다. 결국은 즐거움이나 안정감을 느낄 수 있는 대체 수단이 필요하다. 자신만의 건강한 방법으로 기분을 개선하고 마음을 안정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짜거나 뜯는 행동을 강압적으로 멈추려고 애쓰는 것보다는 이를 대신할 수 있는 방법을 함께 찾아나가는 과정이 중요하다. 가령 딱지를 잡아 뜯는 습관이 있다면 그 부위에 밴드를 붙여 일단 손이 가지 않도록 접근을 막는 것이 좋다. 그리고 초조한 마음을 풀 수 있는 다른 방법을 찾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껌을 씹을 수도 있고, 맨손체조를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과정이 결코 쉽지는 않겠지만 자신에게 적합한 대체 방법을 찾는다면 예상외로 쉽게 해결될 수도 있다.

    문세영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