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과의 전쟁, 복지 차원 정부가 나서라”
전 세계는 비만과의 전쟁에 돌입했다. 세계보건기구(WHO)도 지난 2004년에 비만을 질병으로 단정했다. 생활습관을 개선해서 해결될 문제가 아니라 치료가 필요해졌다는 뜻이다. 실제 비만은 심혈관계 질환과 당뇨 등을 유발하는 주된 원인 가운데 하나다.
국내에서도 비만 치료를 위한 정책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데 의견이 모아지고 있다. 이미 비만 때문에 3조원에 가까운 진료비가 쓰이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최근 건강보험공단 서울본부 주최로 열린 비만 관련 포럼에서도 적극적인 비만 정책을 실시하자는 주문이 쏟아졌다. 이 자리에서 공단측 관계자는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이용해 비만 모니터링과 비만으로 인한 폐해를 과학적으로 입증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일선에서 비만치료를 맡고 있는 의료계는 복지 차원의 접근법을 제시하고 나섰다. 김민정 비만연구의사회장은 지난 2일 열린 추계학술대회에서 “저소득층에서 늘어나고 있는 비만환자를 방치하면 심뇌혈관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며 이 같이 촉구했다. 김 회장에 따르면 최근 비만환자는 초고도비만화, 만성질환화하는 추세다. 이 때문에 빈곤한 저소득층에 생활습관 개선을 맡기기보다 정부가 나서 비만을 바로잡으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새누리당 문정림 의원도 지난 국정감사에서 같은 주장을 제기했다. 문 의원은 복지부 국민건강영양조사를 토대로 “비만유병률이 저소득층에서 높아 고도비만 수술치료의 보험급여화가 적극 검토돼야 한다”고 했다.
지난 2009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보면 고도비만 환자는 전 국민의 3.9%에 이르며, 이들 중 절반 정도는 아동.청소년기부터 비만이 시작됐다. 또 2012년을 기준으로 했을 때 성인 비만유병률은 소득이 중상위 이상인 계층의 경우 평균인 32.4%보다 낮았지만, 중하위 이하 저소득층은 평균보다 높았다.
현재 급여화 검토 대상인 고도비만 치료를 위한 수술에는 위밴드수술과 위소매절제술, 위 우회술 등이 있다. 이러한 수술들은 지방흡입술 등 성형목적의 시술과 다르다. 한국보건의료원 보고에 따르면 고도비만환자에 대한 수술치료는 운동과 약물요법 등 비수술치료와 비교해 비용과 효과 측면에서 모두 앞선다. 하지만 고도비만 수술 급여화를 검토하기에 앞서 안전성 검증이 우선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