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라벤 치약 논란 어디까지...긴급 심포지엄
파라벤(Paraben) 치약을 둘러싼 논란이 점입가경이다. 김재원 새누리당 의원과 식품의약품안전처가 ‘핑퐁 게임’을 벌이고 있는 파라벤은 미생물의 성장을 억제시키는 방부제의 일종이다.
파라벤은 치약에만 들어가는 물질이 아니다. 일부 보습제ㆍ바디 로션 등 화장품, 샴푸, 기침 시럽ㆍ해열제ㆍ항생제에도 함유돼 있다. 아기의 엉덩이를 닦는 물티슈에도 자주 사용된다.
만약 아기용 물티슈에 방부제가 들어 있지 않다면 개봉한지 얼마 지나지 않아 곰팡이 투성이가 될 것이다. 화장품도 방부제가 들어있지 않다면 빠르게 산화해 금세 사용할 수 없게 된다.
파라벤 치약 논란은 김재원 의원이 식약처 자료를 통해 시판 중인 치약의 2/3에 파라벤이 함유됐다고 주장하면서 불거졌다. 지난 7일 식약처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나온 지적이다. 이어 새정치민주연합 김용익 의원도 어린이용 치약의 파라벤 허용 기준치가 구강티슈보다 20배나 높다고 지적하며 불을 지폈다.
화장품이나 치약의 보존제로 널리 쓰이는 파라벤은 내분비계 장애를 일으키는 독성물질로, 유해성 논란이 그간 끊이지 않았다. 체내에 쌓이면 어린이에게서 고환암, 성인의 경우 유방암의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치약에 함유된 항균제인 트리클로산도 마찬가지다.
부모들의 불안은 금세 눈덩이처럼 커졌다. 어린 자녀가 치약을 삼키거나 입을 제대로 헹구지 않아 몸속에 파라벤이 쌓일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양치 후 7~8차례 강하게 입을 헹구면 파라벤 농도가 떨어진다는 전문의들의 조언이 부모들의 걱정을 덜어주진 못했다.
식약처는 서둘러 진화에 나섰다. 국내 파라벤 함량기준은 국제적으로 가장 엄격하며, 허용 기준치 이내에서 사용해 안전하다고 해명했다. 국내 파라벤 함량기준은 0.2% 이하로, 0.4% 이하인 유럽연합(EU)과 일본, 업체 자율적으로 관리기준을 마련해 운용하는 미국에 비해 엄격하다는 것이다. 정승 식약처장은 국감에서 “내년에 파란벤류를 포함한 보존제 전반의 안전성을 재평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독성학자들의 모임인 한국독성학회(회장 조명행 서울대 교수)와 사단법인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은 13일(월) 오후 2시 서울 여의도 국회도서관 4층 대회의실에서 ‘파라벤의 안전성과 대안’을 주제로 긴급 심포지엄을 갖는다.
심포지엄이 끝나면 독성학회는 ‘파라벤 사태에 대한 학회 입장’을 정리해 발표할 예정이다. 이날 심포지엄에선 성균관대 약대 김형식 교수가 ‘파라벤 치약 사건 어떻게 바라봐야 하나?’를 발제한다.
이어 토론에선 파라벤에 대한 독성 연구를 실시한 바 있는 한양대 생명과학부 계명찬 교수를 비롯해 서울대 약대 노민수 교수, 이화여대 약대 임경민 교수, 소비자시민모임 황선옥 부회장, 중앙일보 박태균 식품의약전문기자가 패널로 나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