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 속에 든 벌레, 역겹긴 하지만 꼭 뱉어?
머리카락으로 전염 잘 안 돼
음식을 먹다가 머리카락을 발견하면 보통 사람들의 선택은 두 가지 중 하나다. 머리카락을 제거한 뒤 계속 음식을 먹거나 비위가 상해 더 이상 음식을 먹지 못 하거나이다. 후자에 속한 사람들은 머리카락이 든 음식이 비위생적이라고 판단하는데 과연 그럴까.
음식물에서 머리카락을 발견했을 때 혐오감이나 불쾌감이 드는 것은 특이할 것 없는 현상이다. 역겨움은 일종의 생물학적 반응이기 때문이다. 속이 뒤틀리는 느낌은 기생충에 감염됐거나 특정한 질병에 걸렸을 때 몸에 이상이 생겼다는 신호를 보내는 수단이 된다.
런던 위생 및 열대 의학대학원 발레리 커티스 교수는 뉴욕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역겨움은 위생과 관련이 있는 일을 할 때 우리의 행동을 결정한다”며 “누구와 가깝게 지낼 것인지, 누구 옆에 앉을 것인지, 또 누구와 키스를 하고 관계를 가질 것인지를 결정하게 만든다”고 말했다.
하지만 혐오스러운 느낌을 주는 것과 실질적으로 해를 가하는 것은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우리가 욕지기난다고 생각하는 것 중의 상당수가 사실상 무해하다. 이에 미국 언론매체 허핑턴포스턴이 역겹지만 해롭지 않은 것들을 보도했다.
◆소스 함께 찍어먹기=요즘 영화관 관객들은 팝콘만큼이나 나초를 즐겨먹는다. 나초는 살사소스나 치즈를 찍어 먹는 음식인데 대부분 한입에 넣기 부담스러운 크기다. 그래서 한입을 베어 먹은 뒤 입을 댄 나초를 다시 소스에 찍어 먹는다.
이처럼 침이 묻은 음식을 다시 소스에 담구는 행동은 소스 내 박테리아를 번식시킨다. 냄비에 든 찌개를 함께 먹는 한국의 식문화가 아니더라도 같은 용기에 음식을 공유하는 문화는 흔하다.
하지만 디스커버리 채널 호기심해결사(Mythbusters) 팀이 조사한 바에 따르면, 함께 공유하는 소스에는 무시해도 될 정도의 미생물이 들어있을 뿐이다. 살사소스에서 나초를 찍어먹는 실험을 한 결과, 소스 내에 1~4개의 미생물 군집이 발견됐지만 미량에 불과했다는 것이다.
단 타액으로 전염이 가능한 질병이 있거나 입안에 상처가 있다면 다른 사람과 이러한 방식으로 음식을 공유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음식 안 머리카락=음식 안에서 머리카락을 발견하면 입맛이 떨어진다. 하지만 음식에 든 머리카락이 실질적으로 질병을 일으킬 가능성은 거의 없다. 케라틴이라는 단백질로 구성돼 있는 머리카락은 일반적으로 병원균들의 거주지가 아니다. 노스웨스턴 대학교 피부과 마리아 교수는 “머리카락 한 올로 음식이 오염될 가능성은 희박하다”고 말했다.
◆벌레 섭취=벌레는 혐오스러운 동물이라는 인식 때문에 음식으로 먹기 꺼려진다. 하지만 상당수 벌레들이 식용으로 무해할 뿐 아니라 오히려 건강상 도움이 된다. 벌레는 좋은 단백질 공급원으로 미래 음식산업의 중요한 자원이다. 미국식품의약국은 벌레 섭취를 무해하다고 규정하고 벌레를 식량공급원으로 이용할 것을 허락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