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무지 문제가 안 풀리면 몸을 움직여보라

 

일리노이대학 연구팀 실험결과

‘공부는 머리로 하는 게 아니라 엉덩이로 한다’는 우스갯소리가 있다. 의자에 앉아서 공부하는 시간이 길어야 좋은 성적을 거둘 수 있다는 뜻에서 나온 말이다.

하지만 이와는 달리 공부할 때 틈틈이 몸을 움직여 줘야 좀 더 높은 수준의 학업 성과를 거둘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어려운 문제가 잘 안 풀릴 때는 몸을 어떻게 움직이느냐에 따라 전혀 새로운 차원에서 문제를 풀 수 있는 실마리가 생긴다는 연구결과가 있기 때문이다.

미국 일리노이대학 알레한드로 레라스 교수팀은 강의실 천정으로부터 밧줄 두 개를 늘어뜨리고 이 두 밧줄을 연결시켜 보라는 과제를 학생들에게 내 주었다. 강의실 한쪽에는 책, 작은 아령, 스패너, 널빤지 등 소도구를 늘어놓았다.

두 줄은 멀리 떨어져 있어 한 쪽 줄을 잡고 다른 쪽 줄을 향해 걸어가서는 두 줄을 연결할 수 없었다. 과제를 푸는 데는 모두 1분40초가 주어졌고, 중간에 20초가량 몸을 푸는 휴식 시간이 주어졌다.

휴식 시간에 한 그룹의 학생들에게 두 팔을 한꺼번에 앞뒤로 흔들라는 지시가 내려졌다. 그 결과, 이 그룹 학생들이 문제를 푼 경우가 다른 그룹 학생들에 비해 40%나 높았다.

두 밧줄을 연결시키려면 두 밧줄 모두가 움직여야 한다. 그래야 움직이는 두 밧줄을 중간 위치에서 잡아 연결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아령 등 소도구를 두 밧줄 끝에 매달아 흔들리게 하면 두 밧줄의 끝을 가운데 서서 잡을 수 있게 설계됐다.

첫 그룹 학생들에게 양팔을 한꺼번에 앞뒤로 흔들라는 지시가 내려진 것은 사실 문제 풀이와는 전혀 상관없는 몸 풀기 지시였다.

레라스 교수는 “최근 뇌 연구 동향은 신체가 마음의 일부이며, 신체를 어떻게 움직이느냐에 따라 우리의 생각이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을 밝혀내고 있다”며 “서로 다른 동작이 뇌의 문제풀이 능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험을 통해 보여 주고 싶어 이번 실험을 고안했다”고 말했다.

그는 이러한 생각의 원리를 활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 “도저히 문제 풀이가 안 될 때는 잠시 문제를 떠나 몸을 움직여 봐라. 그리고 다시 문제로 돌아오면 신기하게도 새로운 접근 방법이 생각날 때가 있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심리학 학술 전문지 ‘사이코노믹 정보와 검토(Psychonomic Bulletin&Review)’에 실렸다.

    권순일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