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으로 찾지 못한 것, 뇌는 이미 보고 있다
시각정보 처리 과정 연구
숨은그림찾기를 할 때 숨겨진 그림을 아직 발견하지 못했음에도 불구하고 특정한 부분에 자꾸 시선이 간다거나 뭔가를 발견한 것 같은 기분이 들 때가 있다.
최근 발표된 한 연구가 이처럼 묘한 기분이 드는 이유를 설명한다. 눈으로 발견하지 못한 정보를 뇌는 이미 눈치 채고 인식하고 있다는 것이다.
미국 애리조나대학 연구팀에 따르면 직접적으로 보이지 않는다고 해서 뇌조차 이를 발견하지 못한 것은 아니다. 뇌는 이미 시각정보를 처리하며 의미를 부여하는 단계에 이르렀을 수도 있다.
이 대학에서 인지과학 프로그램을 책임지고 있는 메리 피터슨 연구원은 “많은 이론들이 우리 뇌는 눈으로 감지되는 물체에 한해 정보처리를 하는 것으로 분석한다”며 “뇌의 처리과정은 많은 에너지가 소모되는 작업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어 “하지만 뇌는 사실상 앞으로 감지할 예정에 있는 정보도 미리 처리한다”며 “모든 정보들을 모아 가장 적절한 해석이 무엇인지 결정한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뇌파 N400이 최고조에 이르는 시점이 바로 뇌가 정보를 처리하고 의미를 부여하는 시점이라고 밝혔다.
연구원들은 실험참가자들에게 검은색 숫자가 적힌 그림들을 보여줬다. 하지만 사실상 이 그림들에는 숫자 외에 또 다른 물체의 실루엣이 담겨있다는 비밀이 숨겨져 있다. 숫자의 바탕이 되는 흰 공간이 특정 물체의 모양을 이루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참가자들은 숫자가 담긴 그림이라는 고정관념 때문에 숨겨진 물체의 모양을 발견하지 못한다. 하지만 눈으로 물체를 감지하지 못하는 순간에도 사실 뇌는 그 모양을 인지하고 있다는 사실이 연구팀에 의해 포착됐다.
참가자들이 특정 물체의 모양을 발견하기도 전에 뇌파 N400이 정점에 이르는 현상이 발견된 것이다. 즉 눈으로는 아직 발견하지 못한 시각적 정보지만 뇌는 이를 눈치 채고 해석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피터슨 연구원은 “단 뇌가 시각적 정보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해석하는 단계를 거부한다면 결국 눈으로는 물체를 발견하지 못할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이 연구는 심리과학저널에 실렸으며 미국 언론매체 허핑턴포스트가 보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