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기능 개선하려다.... 호르몬 요법 불임 우려

 

성기능 장애 개선을 위한 남성호르몬 보충요법이 일시적인 무정자증을 초래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남성 호르몬 보충요법은 흔히 남성 갱년기 치료요법으로 많이 쓰이며 최근에는 성기능 장애 환자들에게도 시행되고 있다. 무정자증은 정액검사에서 정자가 없는 경우를 의미하며 남성 불임의 중요한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강남차병원 비뇨기과는 2008년 1월부터 2012년 8월까지 이 병원 불임센터에서 무정자증으로 진단받은 남성환자 중 외부병원에서 남성호르몬 보충요법을 받은 11명을 대상으로 추적 관찰한 결과, 이들 모두는 혈중 테스토스테론 농도와 성기능저하에 대해 개인 의원에서 남성호르몬 보충요법을 시행받았던 병력을 가지고 있었다.

대상환자의 평균 나이는 38.5세였으며 평균 불임기간은 18±7.1개월이었다. 이 병원에서 남성호르몬 보충요법의 부작용으로 인한 무정자증 진단 후 환자들은 추가 치료 없이 정액검사, 호르몬 검사를 주기적으로 재검하면서 경과를 관찰하였다. 이어 남성호르몬 보충요법을 중단한 뒤 정액검사와 혈중 FSH 수치는 평균 8.4±1.4월후 정상범위로 회복되었다.

강남차병원 비뇨기과 송승훈 교수는 “일시적인 성기능 저하와 낮은 혈중 테스토스테론 수치를 보이는 젊은 남성이 남성호르몬 보충요법을 시행하면 무정자증과 같은 가임력의 저하를 유발할 수 있다”며 ”남성호르몬 요법을 꼭 시행해야 한다면 비뇨기과 전문의와 상의해 주기적인 검사 및 관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이미 자녀를 모두 출산한 경우에는 별 문제가 되지 않으나 자녀를 가지려고 하는 가임기에 있는 젊은 남성의 경우에는 무정자증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SCIE) 연세메디컬저널(Yeonsei Medical Journal) 5월호에 게재 되었다.

    김용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