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명치료 위한 ‘사전의료의향서’ 작성 시기는?
서울대병원 설문조사
연명치료에 대한 환자의 입장을 반영하는 ‘사전의료의향서’ 작성과 관련해 암환자와 환자 가족, 암 전문의, 일반인 사이에 인식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연명치료는 목숨을 연장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치료를 말한다.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공호흡기 등의 보조 장비가 없으면 생명을 유지 할 수 없는 환자의 경우에 해당된다.
서울대병원 연구팀[김범석(사진 우) 윤영호 허대석(사진 좌) 교수]은 최근 전국 17개 병원에서 암환자(1242명), 암환자 가족(1289명), 암 전문의(303명), 일반인(1006명)을 대상으로 사전의료의향서의 필요성에 대한 설문 조사 결과를 23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사전의료의향서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대다수가 찬성해 암환자 93%, 가족 92.9%, 암 전문의 96.7%, 일반인 94.9%인 것으로 조사됐다.
사전의료의향서 작성 시기에 대해서는 달랐다. 암환자(62.9%)와 가족(63.1%), 암 전문의(65.2%)는 말기나 죽음이 임박했을 때 작성하는 것이 좋겠다고 응답한 반면, 일반인 중에는 이런 응답이 39.1%에 그쳤다. 일반인의 60.9%는 건강할 때나 암을 진단받을 대 사전의료의향서를 작성하는 것이 좋겠다고 답했다.
작성 시기에 큰 차이가 있는 것은 암환자와 가족, 암 전문의의 경우 사전의료의향서를 진료 현장에서 실질적인 치료 방침을 결정하는데 사용할 목적으로 생각하는데 비해 일반인은 평소 가치관을 반영하는 쪽이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사전의료의향서에 포함돼야 할 항목에서도 차이가 있었다. 암 전문의의 95% 이상은 심폐소생술, 인공호흡기 치료 여부가 사전의료의향서에 포함돼야 한다고 답했지만 암환자나 가족, 일반인들은 70%정도가 포함돼야 한다고 응답했다.
김범석 교수는 “국내에서 사전의료의향서를 제도화하고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사회 구성원 간 인식의 차이를 좁히고 사회적인 합의가 필요함을 보여준 연구”라고 말했다. 허대석 교수는 “우리 국민의 품위 있는 죽음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인식 차이를 줄이는 노력과 함께 범국민 캠페인 같은 사회적인 노력을 통해 호스피스-완화치료 전반에 대한 인식 개선도 함께 수반돼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