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우병 치료제로 에이즈 감염 인정”

대법, 제약사 상대 손배소 원심 판결 파기

“혈우병 치료제를 투여한 뒤 에이즈에 감염됐다”며 혈우병 환자 및 가족들이

제약사를 상대로 제기한 손해배상소송에서, 대법원이 제약사 손을 들어준 원심(2심)을

파기, 원고 승소 취지로 사건을 돌려보냈다.

대법원 3부(주심 차한성 대법관)는 29일 혈우병 치료제를 투여한 뒤 에이즈(AIDS,

후천성면역결핍증)에 걸렸다며 혈우병 환자 이모(22)씨 등 16명과 가족 53명이 제약사

녹십자홀딩스를 상대로 낸 손해배상 소송에서 원고 패소로 판결한 원심을 깨고 사건을

서울고법으로 돌려보냈다.

혈우병을 앓아오던 이씨 등은 녹십자홀딩스가 설립한 한국혈우재단에 회원으로

등록한 뒤 재단을 통해 녹십자홀딩스가 제조한 혈우병 치료제를 유·무상 공급받았으며

이후 에이즈 감염 사실을 알게 되자 2003년 녹십자에 총 32억원의 손해배상 소송을

냈다.

1심에서는 혈액제제 투여와 에이즈 감염 사이의 연관성을 최초로 인정해 이씨에게

3천만원을, 가족에게 2천만원을 지급하라고 판결하고 나머지 원고들에 대해서는 에이즈에

감염된 사실을 안 지 10년이 넘어 소송 시효가 소멸됐다는 이유로 기각했다.

반면 2심 재판부는 “혈액제제 투여와 에이즈 감염 사이에 뚜렷한 연관성을 찾아볼

수 없다”며 1심 판결을 뒤집어 제약사 측의 손을 들어줬다.

이에 대해 대법원은 “피고 회사가 1990년대 초반 무렵부터 B형 혈우병 치료제인

이 사건 치료제를 본격 제조·유통시켰는데 그 무렵 우리나라의 B형 혈우병

환자에서 에이즈 감염자가 집단적으로 발생한 사실, 이 사건 치료제는 수백 명 내지

수만 명으로부터 채혈한 혈액을 모아 하나의 풀을 만들어 가공하는 방식으로 제조되기

때문에 혈액제공자 중 한 명이라도 감염자가 있는 경우 그 혈액이 원료로 사용된

풀에서 만들어진 모든 혈액제제가 오염될 가능성이 높은 사실 등을 고려하면 원고의

일부는 이 사건 치료제를 통해 에이즈에 감염됐다고 볼 여지가 충분하다”고 판시했다.

대법원은 따라서 “피고가 제조한 치료제의 결함 또는 피고의 과실과 위 감염된

원고들의 에이즈 감염 사이에 인과관계가 있다고 추정된다”며 “원심은 사건을 다시

심리·판단하라”고 주문했다.

    남인복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