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마라톤은 장거리 아닌 단거리경주다
김화성의 종횡무진 육상이야기 ⑦
아프리카 마라톤선수들은 몸이 길쭉하다. 얼굴도 갸름하다.
하나같이 모딜리아니 그림에 나오는 인물들을 닮았다. 다리는 두루미처럼 가늘고
길다. 몸은 마른 북어마냥 깡마르다. 어느 케냐선수는 말한다.
“우리들이 버드나무라면, 유럽선수들은 참나무나 같다. 우리 다리는 결승선까지
리드미컬하고 탄력 있게 움직이지만, 그들의 다리는 갈수록 쿵쿵거리고 천근만근
무거워 진다.”
결국 문제는 스피드다. 현대마라톤은 100m 달리듯이 빨리 달리지 않으면 우승할
수 없다. 더구나 세계유명대회일수록 코스를 평탄하고 쉽게 만들고 있다.
현재 남자마라톤 세계최고기록 보유자는 에티오피아의 하일레 게브르셀라시에이다.
그는 2008년 9월28일 제33회 베를린마라톤에서 2시간3분59초로 세계최고기록을 세우며
우승했다.
2007년 이 대회에서 자신이 세운 세계기록(2시간4분26초)을 27초 앞당기며 3년
연속 우승한 것이다. 그의 빠르기는 100m를 평균 17.63초의 속도로, 10초에 평균
56.7m를 달린 셈이다.
게브르셀라시에는 2006년 1월 미국 피닉스 하프마라톤에서 58분55초의 세계 최고기록을
세웠다. 만약 똑같은 스피드를 유지할 수 있다면 풀코스를 1시간57분50초에 끊는다는
계산이다.
현대마라톤은 인정사정없다. 비정하다. 처음부터 끝까지 오직 스피드전쟁뿐이다.
날로 코스가 평탄해지기 때문에 오버페이스를 크게 염려할 필요도 없다. 베를린대회처럼
날씨까지 선선하면 변수는 오직 스피드뿐이다.
스피드가 있으면 살고, 스피드가 없으면 죽는다. ‘후반 30km이후에 승부를 건다’는
작전은 더 이상 작전도 아니다. 승부는 41km까지 살아남은 선수들끼리만 펼쳐진다.
나머지 1.195km에서 최후의 진검승부가 벌어진다. 승부가 도로 아닌 경기장트랙 위에서
결정된다는 얘기다.
불과 얼마 전까지만 해도 ‘마라톤 트랙게임’은 보기 힘들었다. 하지만 요즘엔
새삼스러운 일도 아니다.
트랙게임을 벌이는 선수들은 피가 마른다. 입술이 바싹바싹 타고, 심장은 금방이라도
터질 것 같다. 몸은 천근만근 자꾸만 땅속으로 가라앉는다. 오직 정신력으로, 본능적으로
다리를 옮길 뿐이다.
한국마라톤의 장점은 은근과 끈기이다. 거꾸로 말하면 스피드가 부족하다는 말에
다름 아니다. 게브르셀라시에는 19세 때부터 29세까지 세계 중장거리(1500, 3000,
5000, 10000m)를 휩쓸었다. 10년 동안 크로스컨트리, 5000m, 1000m에서 24번의 세계기록을
작성했다. 그리고 29세인 2002년에야 비로소 런던마라톤 대회에서 처음 풀코스 마라톤을
뛰었다.
그는 마라톤 데뷔이래 단 한번도 2시간6분대 이후로 벗어난 적이 없다. 그만큼
스피드가 빠르다. 하지만 그도 요즘 내리막 증세를 보이고 있다. 새해마다 세계 맨
처음 열리는 두바이마라톤 기록을 보면 한눈에 알 수 있다.
그는 3년 연속 우승은 했지만, 2008년 2시간4분53초, 2009년 2시간5분29초, 2010년
2시간6분09초로 미끄럼을 타고 있다. 2009년 9월 4번째 베를린마라톤 우승기록도
2시간6분08초에 그쳤다.
현대마라톤에서 2시간5분대를 달리려면 5000m 13분20초 이내, 1만m 27분대에 끊어야
한다.
현재 5000m 세계기록은 12분37초35의 케네니사 베켈레(에티오피아)가 보유하고
있다. 10000m 세계기록 역시 베켈레의 26분17초35이다. 베켈레는 게브르셀라시에
보다 아홉 살 어리다. 키도 게브르셀라시에(160cm)에 비해 6cm 더 크다. 젊고 하드웨어가
좋다.
베켈레가 마라톤에 여러 면에서 더 유리하다. 어쩌면 그가 2시간3분대 벽을 맨
처음 깨뜨릴지도 모른다.
육상 종목을 즐기기 전에 알아두면 좋은 육상 잡학 사전 5
마라톤 트랙게임 즐기기
육상의 꽃은 마라톤이다. 그렇다면 마라톤의 꽃은 무엇일까?
그것은 뭐니 뭐니 해도 ‘트랙게임’이다. 트랙게임이란 마지막 결승선을 앞두고
트랙이 있는 경기장 안에서 펼쳐지는 ‘마지막 승부’를 말한다.
2명이 거의 동시에 경기장 트랙에 들어온다면? 아니 3명이 앞서거니 뒤서거니
선두 다툼을 하며 들어선다면? 아마 경기장의 수많은 관중들은 그만 숨이 꼴깍! 넘어갈
것이다.
입에 침이 마르고, 자기도 모르게 손바닥이 터져라 박수를 쳐 댈 것이다. 남은
거리는 길어야 300~400m. 시간으로는 길어야 50여초도 되지 않는 짧은 시간.
트랙게임을 벌이는 선수들은 피가 마른다. 입술이 바싹바싹 타고, 심장은 금방이라도
터질 것 같다. 몸은 천근만근 자꾸만 땅속으로 가라앉는다. 오직 정신력으로, 본능적으로
다리를 옮길 뿐이다.
하지만 승부는 승부. 선수로선 이겨야 한다. 앞선 선수는 그대로 결승선에 골인해야
한다. 쫓아가는 선수는 젖 먹던 힘을 다해서라도 앞선 선수를 제처야 한다. 하지만
100리가 넘는 먼 길을 달려온 선수에게 한 두 걸음 차이는 천리만큼이나 멀게 느껴진다.
이봉주는 이런 트랙게임에서 두 번이나 지고 말았다. 한번은 1996년 경주 동아국제마라톤에서
포르투갈의 스페인 마틴 피스에게 1초 늦은 2위(2시간8분26초)에 들어 온 것이다.
거리로는 5~6m 차. 두고두고 땅을 칠 일이다. 그러나 이봉주의 트랙게임 징크스는
여기에서 끝나지 않았다. 곧 이어 열린 96애틀랜타올림픽에서 또 3초차로 2위(2시간12분39초)에
머문 것이다. 1위는 남아공의 조슈아 투과니. 거리로는 15~18m 정도. 올림픽 남자마라톤
시상 가장 짧은 시간차다.
“경기장에 들어서기 까지 50여m 떨어졌었지만 죽을힘을 다해 조금씩 좁혀가고
있었다. 투과니와 한 15m 정도 떨어져서 잘 하면 잡을 수 있겠다고 생각했었는데
바로 결승선이 보였다. 결승선이 조금만 더 뒤에 있었다면 충분히 따라잡을 수 있었는데
너무 원통하고 억울했다.”
이봉주가 트랙경기에서 지기만 한 것은 아니다. 이긴 적도 두 번이나 된다. 한번은
95년 3월 경주에서 열린 동아국제마라톤. 당시 이봉주는 스물다섯의 한창 때였다.
8개국에서 95명이 참가했지만 30km가 지나자 이봉주-네루카(영국)-에스피노자(멕시코,
94년 세계랭킹 2위)-마티아스(포르투갈) 4명으로 좁혀졌다. 이들은 서로를 견제하며
이제나 저제나 마지막 스퍼트 할 틈을 노리고 있었다. 그리고 마침내 38km 지점에서
이봉주가 맨 먼저 뛰쳐나갔다. 하지만 나머지 3명의 선수들도 안간힘을 다하며 바로
뒤를 따라 붙었다.
코스는 서서히 오르막에 접어들어 결국 지구력이 누가 더 강하느냐의 싸움이었다.
경주 북군동에서 한화 콘도에 이르는 고개에서 에스피노자와 마티아스가 떨어져 나갔다.
영국의 대학생 마라토너 네루카는 힘이 좋았다. 씩씩대며 이봉주 뒤를 끈질기게
따라 붙었다. 당시 결승선은 유감스럽게도 경주현대호텔 정문 앞. 트랙은 없었지만
트랙 경주나 마찬가지였다. 길가엔 수많은 경주시민들이 손에 땀을 쥐며 “이봉주
파이팅”을 외쳤다. 이봉주는 시민들의 기대를 저버리지 않았다. 그렇게 진드기같이
따라붙던 네루카도 조금씩 뒤처지기 시작했다. 마침내 이봉주가 네루카를 약 27m
앞서 5초차 우승(2시간10분58초). 이봉주의 생애 첫 국제대회 우승이었다.
이봉주의 두 번째 트랙게임 승리는 2007서울국제마라톤. 결승선을 1.575km를 앞둔
40.62km지점. 한때 30여m까지 떨어졌던 이봉주가 어느새 케냐 키루이(27)와 어깨를
나란히 하더니 갑자기 뛰쳐나가기 시작했다. 길가 시민들은 처음엔 설마하며 자신의
눈을 의심했다. “원 세상에!” 모두들 자신도 모르게 박수를 치며 목이 터져라 응원하기
시작했다.
결국 이봉주는 2시간8분04초의 기록으로 결승선을 맨 먼저 통과했다. 약 137m
뒤에 처진 키루이는 25초 늦은 2시간8분29초의 기록으로 2위로 골인했다.
트랙게임을 벌이는 선수들은 모두가 승자다. 누가 이기든 그것은 상관없다. 그들은
42.195km의 105리 길을 마지막 땀 한 방울까지 쏟아 부으며 달려왔다. 그리고 마지막
마른 수건에서 또 물을 짜내려하고 있는 것이다.
새 중에서 쉬지 않고 가장 멀리 날아가는 것은 ‘큰 됫부리 도요’다. 이 새는
1만km가 넘는 거리를 2000m 상공에서 평균시속 56km로 쉬지 않고 6~7일을 날아간다.
뉴질랜드에서 황해를 거쳐 알래스카로 이동하는 것이다. 몸길이 41cm 몸무게 250g.
이들이 목적지에 도착하면 지방과 근육 속의 에너지가 모두 바닥나 뼈와 가죽만 남는다.
금강하구에 막 도착한 어느 도요는 날갯죽지를 축 늘어뜨린 채 제대로 가누지
못할 정도로 지쳐있다.
42.195km를 달려온 마라토너도 도요와 닮았다. 한번 완주하고 나면 몸무게가 3~4kg이
빠진다. 얼굴은 쪼글쪼글하고 뼈와 가죽만 남는다. 뼈와 가죽만 남은 그 몸으로 마지막
승부를 벌이다니! 마라톤 트랙게임은 ‘영혼의 게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