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자 100m 인간한계 어디까지?
김화성의 종횡무진 육상이야기 ⑤
인간은 과연 얼마나 더 빨리 달릴 수 있을까?
일본 스포츠과학자들은 역대 100m 세계기록 보유자들의 장점만 한데 모아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조합해 100m를 뛰게 해본 결과 9초50이 나왔다는 연구 결과를 내놓은
적이 있다.
미국의 한 운동생리학자는 1925년부터 100m 기록이 해마다 100분의 1초씩
빨라지고 있고, 이런 추세가 계속되면 2028년 100m 세계기록이 9초34까지 당겨질
것으로 예측한 다.
불과 10여 년 전만해도 인간한계를 9초75로 점쳤다. 하지만 이제는 그 말이 우습게
됐다.
요즘 학자들은 ‘인간의 한계를 명확히 규정하기는 어렵다’며 한발 뒤로 뺀다.
100m 세계기록은 공식 계측이 이뤄진 1906년 도널드 리핀코트(미국)가 10초6을 기록한
이후 1968년 짐 하인스(미국)가 9초95로 10초벽을 허물었다.
20세기 최고의 스프린터
칼 루이스(미국)가 1991년 9초9 벽을 넘어 9초86을 기록했고 1999년 모리스 그린(미국)이
9초79로 다시 9초8 벽을 깼다. 9초7과 9초6은 모두 볼트가 넘었다.
볼트는 2008년
5월31일 9초72로 처음 세계기록을 세운 뒤 2008년 8월16일 베이징올림픽에서
9초69, 정확히 1년 만인 2009년 9초58을 찍었다. 1년3개월 만에 세계기록을 0.16초나
당겼다. 한 번에 0.05초 이상 기록을 단축한 것도 그린 이후 10년 만에 처음이다.
자메이카의 시골 지역인 트렐로니에서 식료품점을 운영하는 부모 아래서 자란
볼트는 어릴 때 크리켓을 배우다 육상을 해보라는 코치의 권유로 트랙에 들어섰다.
지역 초등학교 대회에서 발군의 스피드를 뽐내 발탁됐지만 원래 200m가 전공이었다.
2004년 아테네올림픽에선 예선 탈락했고 2007년 오사카 세계선수권대회 은메달로
처음 메이저대회에서 입상했다. 2009년 베를린세계선수권을 앞두고는 고향에서 스포츠카를
몰고 가다 빗길에 굴러 아찔한 순간을 경험했고 집에 강도가 드는 등 액땜을 했다.
기록스포츠 인간의 한계는?
수영남자 100M '45초대 마의 벽'=수영의 꽃은 남자자유형 100m. 세계기록은 2009년
이탈리아 로마 세계수영선수권대회에서 세자르 시엘루 필류(브라질)가 세운 46초91.
2008년 베이징올림픽 예선에서 이먼 설리번(호주)이 세운 47초05를 0.14초 앞당기며
사상 처음으로 46초대에 진입했다.
수영 남자 100M에서는 통상 '마의 45초대' 벽을 한계로 내세운다. 피터 판 덴
호헨반트(네덜란드)가 2000년 시드니올림픽에서 47초84를 기록하고 나서 9년 만에
47초벽이 무너졌다. 하지만 시엘루 필류도 첨단 수영복의 도움을 받았다는 논란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빙상 100M '육상 100m와 비슷'=빙상은 얼음 위에서 스케이트 부츠와 블레이드(스케이트
날)에 의존해 속도를 내는 스포츠다. 500m가 단거리 대표 종목이다. 캐나다의
제레미 워더스푼이 2007년 기록한 34초03이 세계기록이다. 100m로 환산해보면 6초81.
100m 스피드 스케이팅은 이벤트 레이스로 종종 열린다. 일본의 오이가와 유야가
세운 9초40이 가장 빠른 기록이다. 볼트의 100m 기록과 0.18초밖에 차이가 나지
않는다. 스피드 스케이팅은 출발 때 가속도가 쉽게 붙지 않는다. 100M가 넘어야 점점
더 가속도가 붙어 미끄러지듯 달릴 수 있다.
역도 '체중의 3배를 들면 한계점'=역도에서는 아무리 괴력의 천하장사라도 보통
자기 몸무게의 3배 이상을 들기는 불가능하다는 게 정설이다. 그러나 올림픽 3연패를
이뤘던 하릴 무툴루(터키)는 56㎏급 용상에서 168㎏을 들어 올린 적이 있다. 2001년
유럽역도선수권대회에서 세운 기록으로 정확히 체중의 3배를 들었다. '인간 기중기'로
불리는 후세인 레자라데(이란)는 용상 최고기록이 263㎏이다. 몸무게는 159㎏.
여자 최중량급 세계기록 보유자 장미란(고양시청)은 용상 최고기록이 186㎏이다.
4톤쯤 나가는 코끼리는 900㎏의 통나무를 들 수 있다. 인간이 체중에 비해서 더 무거운
물체를 들어 올린다는 얘기다.
사격 '0.05㎜라면 퍼펙트 명중은 불가능'=사격에서 가장 가까운 거리를 가장 정교한
총으로 쏘는 공기소총 10m 예선에서는 '만점'을 제법 찾아볼 수 있다. 하지만 전자표적지를
사용해 0.1점 단위로 점수를 매기는 결선에서는 만점을 기록한 경우가 아직
한 차례도 없다. 10점 과녁의 지름이 0.5㎜에 불과한데 이 과녁을 다시 10.0부터
10.9까지 10등분한 공간에서 10발을 모두 10.9점에 맞춘다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
양궁은 10점 과녁의 지름이 12.2㎝이다. 이중에서도 정중앙을 의미하는 X10 과녁
지름은 6.1㎝에 불과하다. 현재 70m 거리에서 12발을 쏘아 승부를 가리는 결승라운드에서
세계기록은 120점. 2005년 전국체전 당시 최원종(예천군청)이 12발을 모두 10점 과녁에
꽂는 '퍼펙트 스코어'를 기록한 적이 있다. 여자부에서는 윤옥희(예천군청)가 2009년
5월 양궁월드컵에서 119점을 쏜 적이 있다.
인간 한계를 뚫은 번개 스프린터
우사인 볼트(25·자메이카)가 2009년 8월17일 오전(이하 한국시간) 독일
베를린 올림피아 슈타디온에서 열린 제12회 세계육상선수권대회 남자 100m에서 9초58이라는
세계신기록으로 우승했다.
2008년 베이징올림픽에서 9초69라는 세계신기록으로 금메달을
목에 걸었던 볼트는 불과 1년 만에 0.11초를 줄였다. 인간 한계로 여겨지던 9초6대와
9초5대를 잇달아 돌파해버린 것이다.
볼트의 무한질주는 어디까지 게속될까. 그는
"9초54까지 뛸 수 있다"고 말했다.
2년 전 2007년 오사카 세계대회 100m와 200m, 400m 계주에서 3관왕에 올랐던
게이는 미국신기록인 9초71(종전 9초77)을 작성하고 은메달에 만족했다.
'무관의
제왕'이라는 수식어가 붙은 파월은 이날 스타트 반응 속도는 셋 중에서 0.134초로
가장 빨랐으나 중반 이후 가속도가 붙은 볼트를 따라잡지 못해 9초84로 동메달에
머물렀다.
볼트와 게이, 파월은 각각 준결승에서 9초89, 9초93, 9초95를 찍고 전체 1~3위로
결승에 올랐었다. 볼트가 가장 좋은 4번 레인, 게이와 파월이 각각 5번과 6번 레인에
나란히 포진했다. 지난해 볼트가 급성장한 뒤 한 번도 볼 수 없었던 단거리 세 영웅
간 역사적인 대결이 성사됐다.
셋이 스타트 블록에 앉자 경기장에는 장엄한 음악이 흘렀고 모두가 숨죽여 이들의
일거수일투족에 신경을 곤두세웠다. 마침내 스타트 총성이 울리자 곳곳에서 함성과
함께 터진 카메라 플래시로 일대 장관이 연출됐다.
스타트 반응속도 0.146초로 힘차게 블록을 차고 앞으로 튕겨 나간 볼트는 0.144초로
앞서간 게이, 파월과 20m 지점까지 일직선을 형성했지만 30m를 지나면서 특유의
'학다리 주법'으로 한 발짝씩 격차를 벌려 나갔고 폭발적인 가속도를 끝까지 유지,
게이를 멀찌감치 떼어냈다.
레이스 시작 전 양팔을 뻗는 독특한 세리머니로 승리를 확신했던 볼트는 결승선
40m 전부터 여유를 부렸던 베이징올림픽 때와는 달리 끝까지 최선의 레이스를 펼쳤다.
섭씨 28도, 뒷바람 초속 0.9m.
우사인 볼트가 스타트까지 빨라졌다. 볼트는 196㎝의 큰 키에 다리가 길다. 그만큼
스타트에 불리하다. 그러나 볼트는 2009년 베를린세계육상선수권대회에서 타이슨
게이(미국), 아사파 파월(자메이카) 등 라이벌에 뒤지지 않을 만큼 출발반응
속도를 높였다.
볼트는 이틀간 4차례 레이스에서 평균 스타트 반응 속도 0.145초를 기록했다.
올림픽에서 9초69로 세계기록을 세울 당시 반응 속도가 0.165초였던 점에 비춰보면
100분의 2초나 줄였다.
예선에서 0.144초로 출발한 볼트는 준준결승에서 0.155초로 약간 늦었지만 준결승에서
가장 빠른 0.135초, 결승에서는 0.146초를 찍었다. 4경기 평균 0.129초를 찍은 파월에게만
뒤졌을 뿐 0.159초인 게이보다 빨랐다. "스타트만 보완하면 더 좋은 기록을
찍을 수 있다"고 누누이 말해온 볼트의 분석이 결코 빈말이 아니었음이 입증됐다.
볼트는 30m부터 치고 나와 긴 다리를 이용한 폭발적인 스퍼트로 격차를 벌려갔고
결승선까지 성큼성큼 ‘41발자국’만에 주파했다. 누구든지 스타트에서 볼트를 제압하지
않는 이상 중반 이후 레이스에서는 이기기 어렵다는 결론이다.
게이, 파월과 처음 동반 레이스를 펼쳤다는 점도 동반 상승효과를 냈다. 1980년대
칼 루이스(미국)와 벤 존슨(캐나다)의 라이벌전에 필적할 대결이었다.
베이징올림픽
3관왕 볼트와 2007오사카 세계대회 3관왕 게이, 통산 51차례 9초대를 찍은 파월이
나란히 출발선에 선 것만으로도 역사적인 장면으로 불리기에 충분했다. 이날 상위
5명이 9초93이하로 뛰었으며 함께 뛴 4명이 올해 개인 최고 기록을 세우는 등 시너지
효과가 컸다.
◆역대 육상 100m 세계기록
-----------------------------------------
선수(국적) 기록
작성일시
-----------------------------------------
도널드 리핀코트(미국) 10초6 1912.7.6
찰스 패덕(미국) 10초4
1921.4.23
퍼시 윌리엄스(캐나다) 10초3 1930.8.9
제시 오웬스(미국) 10초2
1936.6.20
윌리 윌리엄스(미국) 10초1
1956.8.3
아르민 하리(서독) 10초0
1960.6.21
------------<이상 수동 계측>---------
짐 하인스(미국) 9초95
1968.10.14
캘빈 스미스(미국) 9초93
1983.7.3
칼 루이스(미국) 9초92
1988.9.24
르로이 버렐(미국) 9초90
1991.6.14
칼 루이스(미국) 9초86
1991.8.25
르로이 버렐(미국) 9초85
1994.7.6
도노번 베일리(캐나다) 9초84 1996.7.27
모리스 그린(미국) 9초79
1999.6.16
팀 몽고메리(미국) 9초78
2002.9.14
아사파 파월(자메이카) 9초77 2005.6.15
저스틴 게이틀린(미국) 9초77 2006.5.12(타이)
아사파 파월(자메이카) 9초77 2006.6.11(타이)
아사파 파월(자메이카) 9초77 2006.8.18(타이)
아사파 파월(자메이카) 9초74 2007.9.10
우사인 볼트(자메이카) 9초72 2008.6.1
우사인 볼트(자메이카) 9초69 2008.8.16
우사인 볼트(자메이카) 9초58 2009.8.17
----------------<이상 전자계측>------
볼트와 한국 김국영은 딱 6m35㎝ 거리 차
육상 한국남자 100m 기록은 김국영이 2010년 6월에 세운 10초23이다. 우사인 볼트
기록 9초58과 0.65초차이다. 거리로는 6m53㎝.
아르메니아의 100m 최고기록은 아르만
안드레아스얀이 2009년 세운 10초45. 룩셈부르크 10초41. 터키 10초49, 요르단 10초48,
아랍에미리트 10초49, 이라크 10초66, 쿠웨이트 10초36, 북한은 유정림이 1991년
작성한 10초60. 지브롤터 11초53 아프리카 마다가스카르는 1968년 세워진 10초18이
42년째 계속되고 있다.
볼트, 60~80m 구간서 가속도 폭발
우사인 볼트는 2009년 베를린세계 대회에서 80m까지 7초92에 주파하는 등 60~80m
구간에서 폭발적인 가속도를 낸 것으로 나타났다. 볼트는 스타트 반응속도(0.146)에서
8명의 주자 중 여섯 번째에 불과했지만 재빠르게 자세를 전환한 뒤 20m를 가장 빠른
2초89초에 돌파했다.
40m를 4초64에 주파한 볼트는 60m에서 6초31을 찍어 각각 6.39(게이)와 6초42(파월)에
머문 라이벌과 격차를 벌려갔고 80m를 7초92에 돌파, 우승을 결정지었다. 게이와
파월은 80m 주파 당시 8초02, 8초10을 찍어 볼트에 0.1초 이상 뒤졌다.
20m씩 구간을 나눴을 때 20~40m를 1초75에 끊은 볼트는 40~60m 구간을 1초67로
줄였다. 이어 60~80m 구간은 1초61로 단축했고 마지막 구간은 1초66으로 마무리했다.
40m 이후 세 구간을 모두 1초6대에 뛴 선수는 볼트와 게이 뿐이었다. 게이는 40~60m를
1초69, 60~80m를 1초63에 찍는 등 볼트 못지않은 속도를 냈으나 초반의 격차를 줄이지
못해 결국 0.13초 늦은 9초71에 머물렀다.
볼트는 반응속도를 빼고 이날 초속 10.6m로 폭풍처럼 달렸다. 이를 시속으로
환산하면 38.2㎞에 달한다. 볼트가 이날 스타트 반응속도에서 0.119초로 최고를 기록한
리처드 톰슨(트리니다드토바고)만큼 초반 속도를 높인다면 세계기록은 더욱 줄어들
공산이 크다.
볼트의 100m 레이스 최고 속도는 65.03m에서 초속 12.27m. 만약 최고속도로만
100m를 달린다면 8초15까지 가능하다는 계산이다.
볼트가 100m 트랙에 찍은 평균
발자국은 40.92걸음으로 2위 타이슨 게이(45.94), 3위 아사파 파월(44.45)에 비해
현저히 적다. 볼트는 2008년 베이징올림픽 100m 결승에서 9초69로 우승했을 때 찍은
41~42걸음을 더 줄였다. 긴 다리를 활용한 최대 보폭도 80~100m 구간에서는 2.85m에
달해 2.48m(게이)와 2.65m(파월)보다 훨씬 길었다.
육상 종목을 즐기기 전에 알아두면 좋은 육상 잡학 사전 4
## 트랙
육상경기장 트랙은 육상선수들의 요람이다. 선수들은 그 요람에서 찧고 까불며
논다. 요람이 좋으면 더 빨리 달릴 수 있다. 더 멀리 뛰거나, 더 높이 뛸 수도 있다.
옛날 인간들의 놀이터는 먼지 폴폴 나는 맨땅이었다. 비가 오면 질퍽질퍽한 진창에서
놀 수밖에 없었다.
1896년 제1회 올림픽이 열린 그리스 아테네주경기장 트랙은 400m가 아닌 333m
33cm였다. 그만큼 곡선주로에서의 커브가 지금보다 급했다. 곡선주로를 누가 더 잘
달리느냐에 따라 순위가 결정됐다. 트랙을 2바퀴 이상 돌 수밖에 없었던 800m, 1500m
경주는 코너워크를 잘하는 선수가 단연 유리했다. 요즘 빙상 쇼트트랙(111.12m) 경기에서의
코너워크와 비교해보면 금세 고개가 끄덕여진다.
1960년대까지의 육상트랙은 앙투카(en-tout-cas)포장이었다. 앙투카포장은 점토를
고온에서 구운 뒤, 그것을 가루로 빻아 포장한 것이다. 바닥이 맨땅보다 단단해 마찰력이
좋을뿐더러, 비가 왔을 때 물이 잘 빠진다. 당시 정구코트에서 많이 쓰던 것을 육상트랙으로
받아들인 것이다. 앙투카는 프랑스어로 ‘모든 경우에’란 뜻이다. 비가 오든, 눈이
오든, ‘어느 상황에서라도 달릴 수 있다’라는 뜻이다. 하지만 탄성이 거의 없어
딱딱하다. 무릎에 부담이 많은 게 흠이다.
1968년 멕시코시티올림픽 때 처음으로 인공소재 트랙이 등장했다. 미국 3M사가
만든 우레탄트랙이 그것이다. 앙투카트랙보다 마찰력이 더 좋고 반발력이 뛰어나다.
전천후성은 말할 것도 없다. 멕시코시티올림픽 육상 개인종목에서 세계신기록이 무려
9개가 나온 것도 그 영향이 컸다고 할 수 있다. 물론 무더기 세계신기록은 멕시코시티가
해발 2240m의 고지대라는 점이 가장 크게 작용했을 것이다. 공기밀도가 평지의 70%
밖에 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것은 평지보다 기록이 30% 정도 더 좋아진다는 것을
뜻한다.
인공소재트랙은 과학이 발전함에 따라 점점 더 좋은 소재가 나왔다. 1991년 도쿄세계선수권대회에서
전천후 우레탄고속트랙이 처음 선보였다. 역시 100m 남자결승에서 6명의 선수가 9초대를
기록했다.
요즘 인공소재트랙은 복합탄성고무트랙이냐 아니면 폴리우레탄트랙이냐 두 가지로
나뉜다. 복합탄성고무트랙은 표면이 탄성고무성질이라 탱탱 튄다. 스파이크 밀림현상이
적어 스피드내기에 안성맞춤이다. 폭발적인 스퍼트에 유리하다. 단거리선수들이 좋아할
수밖에 없다. 하지만 무릎에 지면의 충격이 그대로 흡수된다. 장거리선수들은 무릎에
피로가 쌓여 불리하다.
폴리우레탄트랙은 표면이 우레탄이라 충격을 잘 흡수한다. 중장거리선수들에게
좋다. 피로도가 그만큼 심하지 않다. 하지만 단거리선수들의 스피드내기엔 불리하다.
2011대구세계육상선수권대회는 어느 트랙에서 펼쳐질까. 대구세계육상선수권대회
조직위원회는 2010년 12월17일 18억원을 들여 2001년 우레탄 포장지로 설치했던 트랙을
복합탄성고무트랙인 몬도 트랙으로 교체했다. 몬도트랙은 국제육상경기연맹(IAAF)이
권장한 것이다.
몬도는 이탈리아 트랙 전문 제조회사 이름이다. 몬도트랙은 선수들이 트랙을 밟을
때 쏟는 지압의 최대량을 그대로 돌려주는 방식으로 설계된 것이 특징이다. 세계
1천100곳 이상 대형 운동장에 깔려있다. 세계신기록이 230차례 이상 나왔다. 세계선수권대회에서도
1995년 예테보리 대회부터 2005년 헬싱키 대회까지 6회 연속 사용됐다. 올림픽에서는
1988년 서울 올림픽을 제외하고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부터 2008년 베이징 대회까지
계속 주경기장 트랙으로 쓰였다. 2012년 런던 올림픽에서도 같은 재질의 트랙이 깔린다.
몬도 트랙에서 뛰었던 선수들은 '마법의 양탄자', '하늘 위를 나는 기분'이라고
말한다.
베이징올림픽 주경기장 궈자티위창(國家體育場)에 깔린 것도 몬도트랙이다. 이
트랙에서 '인간 탄환' 우사인 볼트가 100m(9초69), 200m(19초30), 400m 계주(37초10)에서
잇달아 세계신기록을 쏟아냈다.
대구트랙의 또 하나 특징은 색깔이 청색이라는 점이다. 한국에서 청색 트랙이
설치된 것은 대구주경기장이 처음이다. 청색 트랙은 선수들의 집중도를 높일 수 있고
산뜻해 기분을 차분하게 한다. TV 시청자 눈의 피로도 덜어준다. 조직위는 주경기장의
밝기도 IAAF 기준(1천800룩스)보다 더 높여 2천250룩스로 만들었다. 전광판 크기도
1.5배로 키우고 선명도를 높였다.
2009년 베를린세계육상선수권 대회가 열렸던 베를린 올림피아슈타디온 트랙도
적갈색이 아닌 파란색이다. 대구가 그것을 벤치마킹했다고 할 수 있다. 이 트랙은
독일회사 BSW가 제작한 '레구폴 콤팩트'이다. 국제육상경기연맹(IAAF)로부터 1급
인증을 받았다. 2002년 부산 아시안게임이 열렸던 아시아드 주경기장에도 이 트랙이
깔렸다.
베를린 올림피아슈타디온은 독일프로축구 헤르타 베를린의 홈구장이기도 하다.
2004년 개보수를 마치면서 헤르타 베를린의 상징 색깔에 맞춰 트랙을 청색으로 바꿨다.
이 트랙은 아스팔트 위에 탄성이 좋은 폴리우레탄을 세 장 깔고 그 위를 이중합성고무로
코팅, 탄력을 극대화시켰다. 기본 매트와 그 위를 둘러싼 이중합성고무까지
합쳐 총 두께는 13㎜다. 푹신한 트랙 덕분인지 볼트를 비롯해 100m 결승을 뛴 상위
5명이 9초93 이하로 들어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