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사도 따돌림 당해봐야 '왕따' 심정 이해
아이들과 많은 시간보내는 교사도 '왕따' 이해 못해
아이가 학교에서 친구와 싸우고 들어오거나 맞고 들어와도 어른들은 어릴 때는
원래 그러려니 하며 대수롭지 않게 넘기는 경우가 많다. 특히 아이들과 많은 시간을
보내고 아이들의 세계를 속속들이 알 것같은 교사들도 실제 따돌림을 당해보지 않으면
‘왕따’ 당하는 심정을 잘 이해하지 못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노스웨스턴대학교 로란 노드그렌 교수팀은 교사들에게 공놀이를 시킨 뒤
‘상대방의 고통 이해하기’에 대한 실험을 했다. 연구진은 교사들에게 공놀이를
하게 하면서 따돌림을 당하는 그룹과 공평하게 함께 즐기는 그룹이 있게 했다. 그리고
나서 심하게 따돌림을 당한 학생의 이야기를 들려준 뒤 이런 따돌림을 한 학생들에게
얼마나 큰 벌을 줄 것이냐를 물었다.
그 결과 공놀이 게임에서 따돌림을 경험한 교사들이 그렇지 않은 교사들보다 따돌림을
저지른 학생들에게 더 큰 벌을 크게 내릴 것이라고 답했다. 따돌림을 당해보았을
때 비로소 소외받은 사람의 고통의 크기를 공감하게 된다는 것이다.
연구진은 컴퓨터 게임을 통해서도 ‘상대방의 고통 이해하기’에 대한 실험을
했다. 컴퓨터 게임은 3명이서 공을 주고받는 것으로 2명은 컴퓨터 속 캐릭터이고
다른 한 사람은 연구 참여자였다. 연구진은 참여자를 세 그룹으로 나눠 각각 △컴퓨터
속 캐릭터들과 공평하게 공을 주고받기 △컴퓨터 속 두 캐릭터만 공을 주고받으며
참여자는 소외되기 △아예 게임을 하지 않는 대조군 역할을 하게 했다.
그리고 이들에게 △친한 친구가 파티에 초대하지 않았을 때 △마음에 드는 이성에게
거절당했을 때 △시험을 망쳤을 때 △침대에서 거미를 발견했을 때 △누군가 자기
지갑을 훔치는 것을 보았을 때 등 5가지 항목을 제시하고 그에 대한 느낌을 점수로
매기게 했다.
연구 결과 컴퓨터 게임에서 공놀이에서 소외된 사람들은 ‘친한 친구가 파티에
초대하지 않았을 때’와 ‘사귀자는 말에 거절당했을 때’에 대한 답을 할 때 표정이
일그러졌다. 즉, 소외당하는 상황에 대한 공감을 나타낸 것. 그러나, 차별 없이 공놀이를
했던 사람들은 소외 상황에 대해 잘 공감하지 못했다.
노드그렌 교수는 “괴롭힘을 당하는 어린이, 청소년의 왕따 고통을 줄이기 위해
의례적인 따돌림 예방프로그램 만으론 부족하다”며 “부모와 교사의 깊은 이해와
관심이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성격과 사회심리학 저널(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에
실렸으며, 미국 과학 웹사이트 라이브사이언스, msnbc 방송 등이 3일 보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