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와 2만 년 전 인간 중 누가 더 영리할까?
과거보다 뇌 크기 줄고 뒤따라 지적 능력 줄었다 논란
인간의 뇌는 2백 만 년의 뇌 크기 증식기를 거쳐 지난 2만 년 사이에는 전보다
지속적으로 크기가 줄어들어 그만큼 멍청해졌다는 주장이 나왔다. 그러나 인간의
뇌 크기가 과거보다 줄어든 것은 분명하지만 효율성은 높아졌다는 주장과 뇌 크기가
줄어들면서 더 멍청하게 진화했다는 주장이 꾸준히 대립하고 있다.
과학 및 공학 전문웹진 디스커버 잡지의 캐서린 맥컬리페는 미국 위스콘신대학교
인류학자 존 혹스 교수의 말을 빌어 “남자의 뇌는 2만 년 전보다 테니스공 크기
정도인 평균 1350㎤(세제곱 센티미터)~1500㎤ 줄었으며 여자도 같은 비율로 줄었다”며
“뇌 크기가 줄어든 것은 지력 또한 퇴보했다는 것을 뜻한다”고 밝혔다.
이를테면 프랑스에서 발견된 2만8000년 전의 고대 두개골을 3차원 영상으로 복원해보면
현대 인류에 비해 20% 정도 더 크다는 것이다.
혹스 교수는 “인간의 뇌는 몸에 공급된 전체 에너지의 20% 가량을 소모하는데
뇌가 클수록 에너지도 더 많이 필요하고, 에너지가 충분히 공급될수록 그 기능도
더 오래 지속 된다”며 “인류의 뇌가 수축돼왔기 때문에 지적 능력도 떨어졌다고
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뇌가 줄어드는 미스터리에 대해서는 여러 이론이 있다. 그 중 하나가 큰머리는
후기 구석기 시대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꼭 필요했다는 것. 또 다른 하나는 토끼,
순록, 여우, 말 등의 고기를 먹기 좋게 하는 여러 방법이 생기면서 머리도 성장하는
것을 멈추고 두개골이 작아졌다는 것이다.
그러나 인간의 뇌 크기 변화를 지적 능력과 연관 지어서는 안된다는 주장도 있다.
미국 미주리대학교 인지과학자 데이비드 기리와 드류 베일리 교수팀은 최근 190만~1만년
사이 복잡한 사회 환경에 인간이 적응하면서 두개골 크기가 어떻게 변했는지 조사했다.
그 결과 인구밀도가 낮을 때 두개골 크기가 커졌고, 인구가 드물다가 밀도가 빽빽하게
변할 때 두개골 크기도 작아졌다.
연구진은 “사회가 복잡해지면서 사람이 살아남는데 꼭 똑똑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뇌는 더 작아졌다”며 “하지만 우리 조상이 우리보다 더 똑똑했다는 편견을 가질
필요는 없다”고 밝혔다. 당시에는 다양한 문화 양식이 부족했기 때문에 지적이고
창조적인 활동과 직접 연관지을 수는 없다는 것.
기리 교수는 “농경과 현대사회의 발달은 인간이 과학, 예술 등 다른 분야에 집중할
수 있는 토대를 만들었다”며 “우리 조상은 그들의 지적능력을 발전시킬 기반이
없었고, 모든 관심은 동물적 생존에 집중됐다”고 말했다.
인간 뇌 크기의 변화와 지적능력에 대한 논란은 영국 일간지 데일리메일 온라인
판 등이 31일 보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