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행복할 수 있는 연 수입은 8800만원?
더 가진다고 더 행복해지지도 않아
미국인들은 1년에 우리나라 돈으로 8800만원 정도 수입이 있으면 행복을 느끼지만
더 많이 번다고 해도 매일 느끼는 행복감이 올라가지는 않는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프린스톤 대학교의 앵거스 디튼 박사팀은 45만명의 미국인이 2008년과 2009년
자기의 연간 수입과 평소 정서 상태에 대해 응답한 데이터를 분석했다. 그 결과 일상생활에
불편을 느끼지 않으면서 돈 때문에 불행하다고 생각하지도 않는 기준은 연소득 7만5천
달러, 우리나라 돈으로 8천8백만원 정도로 나타났다. 이보다 소득이 높아도 매일매일의
행복도가 더 나아지지 않았다.
연구팀은 그러나 돈을 더 벌기를 포기할 필요는 없다고 말한다. 삶의 전반적인
행복도를 보면 돈을 많이 버는 쪽이 적게 보는 쪽보다는 그래도 높기 때문이다. 또
연소득 8천8백만원을 넘는 사람들은 대체로 자기 삶에 만족하는 반응을 보였다.
디튼 박사는 “행복이 여러 가지 뜻을 품고 있고 인생 전반에 대한 평가가 있는가
하면 어떤 시점에 느끼는 정서적 느낌도 행복의 중요한 기준이 된다”고 말했다.
가령 상사에게 꾸지람을 들었거나 교통신호위반 딱지를 떼는 날은 우울하지만 인생
자체가 우울하다는 뜻은 결코 아니다. 반대로 친구나 가족과 놀러가면 즐겁지만 전반적인
인생은 불행한 사람도 있다.
연구팀은 “이 질문은 매우 깊고 어려우면서 자기만 대답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순간의 행복과 전체적인 인생 구도는 둘 다 중요하기 때문. 그러나 어떤 사람이 지금
당장 자기는 불행하다고 느끼면 그의 삶은 그다지 안락하다고 보기 어렵다는
것이다.
돈이 행복과 어느 정도 관련이 된다는 것은 국가도 마찬가지여서 1인당 국내총생산(GDP)이
어느 수준에 이르면 그 나라 국민의 행복도는 다른 나라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연수입 8천8백만원이라는 기준이 행복의 절대적인 척도는 될 수 없다. 돈과
삶에 대한 만족도의 기준은 부양가족 숫자, 사는 지역 같은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연구결과는 6일자 '국립과학아카데미연보(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에 게재됐고, 헬스데이에 같은 날 보도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