컬링 은메달 비결은 젓가락질 덕분?
섬세함 길러줘… 수읽는 능력에도 도움
이번 밴쿠버 동계 올림픽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 21일(한국시간) 밴쿠버 패럴림픽
센터에서 펼쳐진 대회 결승전에서 김학성, 김명진, 조양현, 강미숙(원주 연세드림)
선수는 주최국 캐나다와 접전 끝에 7-8로 패했지만 열악한 연습환경에서 은메달을
따 ‘제2의 국가대표’, ‘제2의 우생순’의 감동을 선사한 것. 일반인에게 낯선
컬링, 세계 2위의 자리에 오를 수 있었던 비결은 뭘까?
컬링은 각각 4명으로 구성된 두 팀이 빙판에서 둥글고 납작한 돌(스톤)을 미끄러뜨려
표적(하우스) 안에 넣어 득점을 겨루는 경기다. 얼핏 단순해 보이지만 한 게임에
2~3시간이 걸리고 돌이 미끄러질 때 스위퍼를 맡은 선수가 계속 빗질을 해야 하기
때문에 체력 소모가 크다. 돌을 어떻게 배치해야 할지 치밀한 작전을 세워야 하는
고도의 두뇌싸움이기도 하다.
이번 장애인 올림픽에서 한국 대표가 은메달을 딸 수 있었던 건 한국인 특유의
손끝의 민감성에다가 수를 읽는 능력이 잘 혼합되었기 때문이다. 서울시 컬링경기연맹
총무이자 컬링 국가대표 양재봉(37)씨는 “컬링은 투구자가 돌을 언제 어떻게 놓느냐의
아주 작은 차이가 상당한 결과의 차이를 보이는 아주 민감한 경기 중 하나”라며
“장기, 바둑, 고스톱 등 수를 읽는 게임을 많이 했던 한국인에게 어쩌면 유리할
수도 있는 게임”이라고 말했다. 특히 어릴 적부터 익힌 젓가락질은 섬세한 손놀림에도
도움이 되고 뇌 발달에도 좋다는 것.
그렇다면 왜 일반 컬링에서는 좋은 성적을 거두지 못했으면서 장애인 올림픽에서는
은메달을 딸 수 있었던 것일까?
양 대표는 “일반 컬링은 스위퍼의 빗질에 따라 스톤의 방향 속도가 바뀌지만
장애인 컬링은 스위퍼가 없어 전적으로 투구자의 손끝에 달렸다”며 “이 점이 오히려
일반 컬링에서보다 좋은 성적을 낼 수 있었던 요인 중 하나가 아니었을까 생각된다”고
말했다.
컬링이라는 경기장의 특성도 한 몫 한 것으로 보인다. 컬링 경기장은 보통 다른
경기가 벌어지는 스케이트장에서 경기 때마다 표적을 그리고 얼음판을 다진 후 하게
된다. 이 때문에 축구장이나 마라톤 코스처럼 선수들이 미리 사전답사를 하고 적응훈련을
하기 어렵다. 컬링에 많은 투자를 못하는 한국에게 경기가 있는 날 선수 컨디션이나
조직력 등이 변수를 일으키는 것이 오히려 유리하게 작용한다는 것.
무엇보다 경기장 내에서의 집중력과 손의 높은 민감성이 좋은 성적을 낼 수 있었던
핵심 요인으로 꼽힌다. 양 대표는 “한국 선수들은 ‘아이스 리딩(ice reading)’이라고
해서 어느 지점에 떨어지는 감을 잡는 능력이 우수하다”며 “양궁과 같은 종목에서
우리나라가 꾸준히 좋은 성적을 내는 이유는 바로 이것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양 대표는 “이번 성과를 통해 컬링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더 높아지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