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굴 잘 까먹는 것? 바보 아니다
유전적 소인...머리 좋고 나쁨과 무관
사회생활을 원만하게 하는 기술 중 하나가 사람 얼굴을 잘 기억하는 것이다. 그러나
모든 사람이 똑같이 잘 할 수 없으며 개인차가 있다. 어떤 사람은 심지어 가깝게
지내던 친구 얼굴도 기억 못하는 ‘안면인식장애’를 겪기도 한다. 사람 얼굴을 잘
기억 못할 때 흔히 우리는 ‘기억력이 나쁘다’며 머리를 탓한다. 하지만 사람 얼굴을
인지하는 것은 머리의 좋고 나쁨때문이 아니라 유전적 요인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중국 베이징사범대학 지아 리우 교수팀은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 낸시 칸위셔
교수팀과 공동으로 7~19세 일란성 쌍둥이 102쌍과 이란성 쌍둥이 71쌍을 대상으로
사람 얼굴 기억능력과 유전적 특성과의 상관관계를 살폈다. 일란성 쌍둥이는 유전자가
100% 일치하지만 이란성 쌍둥이는 보통 50%정도 같아 일란성 쌍둥이들의 반응이 비슷하다면
사람 얼굴 기억능력에 대한 유전적 소인을 유추할 수 있기 때문.
연구진은 실험 참여자에게 흑인과 백인의 얼굴 사진 20장을 컴퓨터 화면으로 1초
간격으로 보여줬다. 그리고 나서 10장의 사진은 앞서 봤던 얼굴, 20장은 새로운
얼굴로 다시 섞어 보여주고 앞서 봤던 얼굴을 골라내도록 했다. 실험 결과 일란성
쌍둥이들은 이란성 쌍둥이에 비해 낯선 얼굴과 낯익은 얼굴을 구별해내는 점수가
아주 비슷했다. 즉, 사람얼굴 기억능력은 유전적 소인이 강하게 작용하고 있음을
확인한 것.
지능지수(IQ)의 개념은 한 가지를 잘하면 다른 것도 다 잘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수학을 잘하는 사람은 언어와 역사도 잘할 가능성이 더 높다는 것. 그러나 몇몇
인지능력은 IQ가 아닌 유전적인 영향을 더 많이 받는다. 숫자나 음악에 밝은 사람이라도
특별 유전자 때문에 사회적으로나 언어적으로 평균보다 뒤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리우 교수는 “이번 연구는 얼굴 알아보는 능력에 한정했지만 앞으로 언어 처리
과정, 숫자 이해 같은 인지능력도 유전적 소인을 나타내는지 연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연구결과는 ‘진화 생물학(Current Biology)’에 발표됐으며 미국 과학논문
소개사이트 유레칼러트, 온라인 과학뉴스 사이언스 데일리 등이 19일 보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