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호랑이는 열성?… 白虎의 과학

덩치 크고 수명은 황색과 비슷

경인년(庚寅年) ‘호랑이의 해’가 밝았다.

경인년은 60년 만의 백(白)호랑이 해다. 경(庚)이 서쪽, 쇠와 함께 흰색을 상징하기

때문에 호랑이를 상징하는 인(寅)과 합쳐 백호랑이의 해가 되는 것.

동양에서 백호는 청룡(靑龍), 주작(朱雀. 상상의 새), 현무(玄武. 머리는 뱀,

몸은 거북인 동물) 등과 함께 사신(四神)으로 꼽히며 서쪽을 관장한다. 우리나라에서는

풍수용어로 쓰였는데 주산(主山)에서 오른쪽으로 뻗어나간 산줄기를 지칭했다. ‘좌청룡우백호’는

여기에서 나온 말. 고구려 집안과 평양의 고분에서도 백호 그림이 나온다.

백호는 사신 중 유일하게 실존하는 동물이다. 일반적으로 호랑이는 척색동물문,

포유강, 식육목, 고양잇과, 표범속, 호랑이종에 속하는 동물들을 가리키며 호랑이종에

뱅골호랑이(인도호랑이), 백두산호랑이(시베리아호랑이) 등의 아종이 있는데 백호는

별도의 아종이 아니라 열성유전자를 가진 호랑이다. 따라서 백호와 황색호랑이도

서로 ‘사랑’을 나눌 수가 있다. 참고로 표범속에는 사자, 호랑이, 표범, 재규어가

속한다.

백호는 열성유전자이기 때문에 자연 상태에서는 줄어들 수밖에 없다. 일반적으로

두 백호가 짝을 이뤘을 때 백호가 태어날 가능성이 크지만 반드시 그렇지만은 않다.

황색호랑이라도 암수가 모두 열성유전자를 갖고 있다면 백호가 태어난다. 이 경우

25%는 백호, 50%는 열성유전자를 가진 황색호랑이, 25%는 황색호랑이다. 세계 각국의

동물원에서는 백호를 보존하기 위해 백호끼리의 교배를 많이 시도하고 있다. 과학자들은

체세포복제로 백호의 개체를 보존하는 시도를 하고 있지만 쉽지만은 않은 상황.

백호랑이는 서양에서 ‘백설(Snow-white)’ 또는 ‘순백(Pure White)’으로도

불리며 하얗거나 우윳빛 털이 뒤엎은 몸체에 검정, 회색 또는 초콜릿 빛의 줄이 위용을

자랑한다. 자세히 보면 코와 발은 분홍빛이다. 눈동자는 담청색이다.

백호는 열성유전자를 갖고 있지만 태어날 때부터 황색호랑이보다 더 크고 어른이

돼서도 덩치가 더 크다. 열성유전자를 잠재하고 있는 황색호랑이도 그렇지 않은 호랑이보다

더 크다.

수명은 동물원에서 잘 보호하면 20여 년, 야생 상태에서 10~15년인 황색호랑이와

비슷하다. 우리나라에서는 서울동물원, 에버랜드 동물원 등에서 백호를 구경할 수

있다.

    강경훈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