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심한 스트레스가 ‘반응성 우울증’불러

일반적 우울증과 원인 다르지만 증상 같아

노무현 전 대통령의 서거를 계기로 일반적 우울증 못지않게 ‘반응성 우울증’에

대해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정신의학계에서 대두되고 있다. 산전수전을

다 거친 전직 대통령도 극심한 스트레스가 쌓이면 일순간 우울증이 생기고 이 때문에

극단적인 선택을 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일반적인 우울증은 유전적 또는 환경적 이유로 뇌의 신경전달물질인 세로토닌

분비에 이상이 생겨 기분이 가라앉거나 일상생활에 흥미를 잃게 되는 등의 증세가

생기는 데 반해 반응성 우울증은 외부의 극심한 스트레스 탓에 갑자기 세로토닌 분비

시스템에 이상이 생겨 나타난다.

어린이들이 학교를 옮기면 새 학교에 잘 적응하지 못하거나 외국으로 이민 간

사람들이 제대로 정착하지 못하고 힘들어 하는 것도 일종의 반응성 우울증에 해당된다.

순천향대 부천병원 정신과 박준호 임상심리학 박사는 “4월 말부터 시작된 검찰의

소환 조사 등 일련의 사건은 노 전 대통령에게 감당할 수 없는 스트레스였을 것”이라고

말했다.

반응성 우울증은 갑작스런 자괴감이나 의기소침을 불러오고, 우울한 기분, 흥미

저하, 활력 상실, 과도한 죄책감, 집중력 감소, 자살하고픈 생각 등 우울증의 전형적인

증상들을 보인다.

전 노동부 장관인 김호진 고려대 명예교수는 ‘한국의 대통령과 리더십’이란

책을 통해 노 전 대통령이 ‘도덕적 우월의식’과 ‘이념젹 편집증’이 더해져 국정운영이

외곬으로 치닫게 됐고 탄핵 이후 종종 자제력을 잃고 흥분했다고 분석한 바 있다.

정상의 자리에서 물러난 사람들은 종종 ‘퇴임 후 증후군’을 겪게 된다. 인생의

최정점에서 은퇴한 후 평범한 삶으로 내려오게 되면서 공허함과 불안감을 경험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복합적인 상황과 4월 말부터 시작된 검찰의 소환 조사 같은 극심한 스트레스가

노 전 대통령에게 반응성 우울증을 불러 일으켰다는 해석이다.

박준호 박사는 “유서의 내용만으로도 우울증 진단 기준에 해당한다”며 “자살하기

전 극심한 마음고생을 엿볼 수 있다”고 말했다.

노 전 대통령의 유서에는 ‘너무 많은 사람들에게 신세를 졌다’ ‘나로 말미암아

여러 사람이 받은 고통이 너무 크다’ ‘여생도 남에게 짐이 될 일 밖에 없다’ ‘건강이

좋지 않아서 아무 것도 할 수가 없다’ ‘책을 읽을 수도 글을 쓸 수도 없다’ ‘삶과

죽음이 모두 자연의 한 조각 아니겠는가?’ ‘운명이다’ 등의 내용이 적혀 있었다.

김대중 전 대통령의 주치의였던 서울 서대문구 허내과 허갑범 원장은 “현직 대통령이라면

각 증상 별로 자문의가 있기 때문에 적절한 상담이 이뤄졌을 것”이라며 “퇴임을

하게 되면 본인이 자문을 원하지 않는 이상 스트레스 관리는 전적으로 본인의 몫이

된다”고 말했다.

    강경훈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