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추위 퇴치 ‘모자보다 목도리’

추위로 목 혈관 수축되면 뇌중풍 위험도

강추위 퇴치 ‘모자보다 목도리’강추위 때 문 밖으로 나서려면 모자, 목도리, 장갑, 귀마개, 마스크처럼 갖춰야

할 것도 많다. 이것 중 가장 중요한 한 가지만 꼽으라면 무얼 골라야 할까. 건강

전문가들은 첫째 목도리, 두 번째 장갑을 꼽는다.

경희의료원 신경과 윤성상 교수는 “아주 추울 때 밖으로 나가면 ‘머리가 시리다’며

외부 공기에 노출된 머리를 가장 먼저 보호해야 하는 것으로 생각하기 쉽다”며 “그러나

뇌 부위는 자율 조절 능력이 상대적으로 좋은 반면 목은 체온 조절 능력이 떨어지므로

모자와 목도리 중 하나만 고르라면 목도리를 잡아야 한다”고 말했다.

목이 보온에 특히 중요한 것은 목 부위가 추위에 민감할 뿐 아니라, 목을 지나

뇌로 올라가는 굵은 혈관들이 수축되면 뇌에 혈액 공급이 제대로 안되면서 노약자의

경우 뇌중풍 같은 치명적 위험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강추위에 나가 머리가 아픈 증세를 느낀다면 경고 신호일 수 있으므로 바로 실내로

들어와 방한 장비를 갖추거나 아니면 실내에 머물러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한다.

과거 체온의 40~45%가 머리를 통해 손실된다는 연구 결과가 있었고, ‘머리를

통한 체온 손실’이 상식처럼 믿어지기도 했지만, 최근 보다 정확한 실험을 통해

잘못된 상식으로 밝혀졌다. ‘영국 의학저널(British Medical Journal)’에 최근

게재된 논문은 다른 신체 부위보다 머리를 통해 더 많은 체온이 손실된다는 증거는

없다고 밝혔다.

심장에서 멀수록 더욱 추위 탄다

목과 더불어 강추위에 약한 부위는 심장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몸의 말단부,

즉 손, 발, 귀, 코 등이다.

이들 부위에는 추위를 느끼는 감각 수용체가 많기 때문에 찬 공기가 닿으면 바로

추위를 느끼게 된다. 추위를 느끼는 감각 수용체가 많이 모인 지점을 냉점이라 부르며,

냉점의 숫자가 많을수록 추위에 더욱 민감하다.

윤성상 교수는 “팔보다 손, 다리보다 발처럼 몸통에서 먼 부위에 온도를 느끼는

감각 수용체가 많아, 추위에 훨씬 민감하게 반응하고 추위를 많이 탄다”고 말했다.

손 피부 1㎟ 안에는 240개의 감각 수용체가 있다. 피부의 감각 수용체가 차가움을

감지하면 이는 말초신경을 통해 대뇌 피질로 전달된다. 우리가 ‘춥다’고 느끼는

과정이다.

추위를 느끼면 자율신경 중추인 시상하부는 체온을 보호하기 위한 명령을 내린다.

이 명령으로 신체는 몸을 떨고, 혈관을 수축시키며, 땀 분비를 줄여 체온이 떨어지는

것을 막으려 한다. 체온 조절을 위한 이런 자율신경 반응은 아세티콜린이라는 신경전달물질이

신경 세포 사이로 전달되면서 일어난다.

당뇨병 환자 등, 목도리-장갑 꼭 챙겨야

경희의료원 피부과 김낙인 교수는 “심장에서 먼 말단 부분은 따뜻한 동맥혈이

잘 오지 않고 혈액 순환이 잘 되지 않아 동상에 걸릴 위험이 높다”며 “따라서 말단까지

혈액이 잘 순환되도록 장갑을 끼고 두꺼운 양말을 신어 손, 발을 따뜻하게 보호해

주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특히 당뇨병이나 내분비질환, 동맥경화증 환자는 말단의 혈액 순환이 더욱 원활하지

못하기 때문에 겨울철 액세서리를 단단히 준비해야 한다.

우리는 흔히 배나 등 같은 몸통 부위를 노출하면 손, 발보다 더 크게 추위를 느낄

것 같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 몸통 부위는 오히려 말단 부분보다 추위를 덜 느낀다.

이렇게 추위에 둔감하기 때문에 몸통의 체온 유지에도 신경을 써야 겨울철 장시간

야외에 머물다 걸리는 저체온증의 위험을 막을 수 있다.

    이수진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