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전체지도] ‘걸릴 질병’ 미리 알고 대처한다

세계 4번째 한국인 유전체 지도 완성의 의미

사람의 유전체 서열을 모두 분석하면 정말로 무병장수의 시대가 열릴까? 미래에

대해 희망을 갖는 것은 좋지만 아직 해결해야 할 부분은 많이 남았다. 이제 시작인

것이다.

유전체 지도를 분석해 특정 질병과 관련된 유전자의 돌연변이, 취약점을 미리

알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유전체지도] ‘걸릴 질병’ 미리 알고 대처한다

가천의대 이길여암·당뇨연구원 김성진 원장은 유전자 지도의 의미에 대해 “맞춤

의학, 예방 의학, 예측 의학의 초석이 될 수 있을 것”이라며 “특히 우리나라는

인종의 혼합이 적기 때문에 미국, 유럽, 중국에 비해 훨씬 연구하기가 쉽다”고 말했다.

유전 관련 질병의 예로는 셀리아크병을 들 수 있다. 밀가루를 먹으면 설사, 구토는

물론 심하면 쇼크로 인해 목숨까지 잃을 수 있는 무서운 병이다. 동양인에게는 희귀병이지만

북유럽에서는 유병률이 0.5~1%로 비교적 발생빈도가 높은 병이다. 서양인에게는 밀가루

단백질과 관련된 유전자 변이가 있기 때문이다.

유방암의 원인 중 하나는 BRAC 1이라는 유전자의 돌연변이이다. 조직검사에서

BRAC 1의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있으면 유방암이 생길 위험이 돌연변이가 없는 사람에

비해 높다. 다른 인종에게는 단순히 유방암의 위험이지만 유태인 여성에게 BRAC 1

유전자의 돌연변이는 유방암뿐만 아니라 난소암과 자궁암의 원인이 된다.

위암 중 비교적 젊은 사람에게 생기며 위벽에 넓게 퍼지는 미만성 위암은 PSCA

유전자의 변이와 관련이 있고 이는 특히 동양인에서 더 많이 나타난다.

이렇듯 특정 질병과 관련된 유전자 변이와 특정 인종과의 연관성이 파악되면 질병을

미리 예방하거나 더 쉬운 치료법을 찾을 수 있다. 미국 존스홉킨스대에서는 대장암,

뇌종양과 관련된 유전자 변이를 밝혀내 환자가 항암치료를 받기 전에 조직검사를

통해 환자에게 가장 잘 맞는 약을 선택하고 있다.

유전자 지도를 실제 의료 현장에 이용하기 위해선 아직 밝혀야 할 부분이 훨씬

더 많다는 것은 모든 사람이 동의하고 있다. BRAC 1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유방암의

원인이긴 하지만 모든 유방암이 BRAC 1 유전자 돌연변이만으로 설명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과학의 발달과 더불어 그 결과를 어떻게 이용할지에 대한 사회적인 논의도 함께

진행돼야 한다. 유전체 지도는 맞춤의학이라는 장점과 함께 풀어야 할 과제도 함께 갖고

있다.

유전자 관련 의학은 그 가능성과 함께 위험성도 큰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유전체

검사로 특정 질병에 걸릴 위험이 높다는 결과가 나온다면 본인은 건강 관리에 이용할

수 있지만, 반대로 보험 회사 입장에서는 질병에 걸릴 위험이 높다는 이유로 보험

가입을 거절할 수 있고, 취직을 원천적으로 막는 결격 사유가 될 수도 있다.

유전자 정보를 누구에게 어느 정도까지 공개하고 활용할 것인가에 대해 사회적인

합의가 이뤄지기도 전에 기술만 발전한다면 더 큰 혼란이 올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김성진 원장은 “유전자 해독은 질병의 선천적, 후천적 원인에서 선천적 원인을

밝히는 것일 뿐”이라고 말했다. 어떻게 이용하고 어떤 방식으로 질병을 예방할지는

다른 차원의 문제라는 것이다.

 

    강경훈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