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병 완치 췌장이식, 국내서도 '보편화'

서울아산, 100례 성공 1년 생존율 94%…美 미네소타병원과 대등

당뇨병 완치 췌장이식, 국내서도 '보편화'인슐린

치료에도 불구하고 혈당조절이 잘 안되거나 신부전증 등 심각한 당뇨 합병증이 발생한

환자들에게 근본적인 치료법으로 알려진 췌장이식 수술이 치료성적 뿐만 아니라 안전성도

높아 국내에서도 보편화될 전망이다.

서울아산병원 외과 한덕종 교수팀은 지난 9일 국내 최다 기록인 100번째 췌장이식

수술을 성공하고, 그 동안의 치료 성적을 분석했다. 그 결과 이식받은 환자들의 1년

생존율은 94%로 세계 췌장이식센터의 메카로 불리는 미국 미네소타대학병원의 성적과(95%)

대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식 후 췌장의 기능이 정상적으로 작용해 당뇨 환자들이 인슐린을 끊는 비율을

보여주는 췌장의 1년 생존율 또한 85%로 미네소타대학병원 성적과 동일하다.

이는 췌장을 이식받은 100명의 환자들 중 85명이 이식 직후부터 인슐린 주사를

끊고, 신부전증, 망막병증 등 수 십년간의 당뇨 합병증의 고통으로부터 해방된 것이라는

평가다.

실제로 한덕종 교수팀은 지난 1992년 7월 국내 처음으로 신·췌장을 동시에

이식한 이후 16년 만에 당뇨합병증인 신부전증을 동반한 20대 제1형 당뇨병 환자에게

신장 췌장을 동시에 이식함으로써 국내 췌장이식 건수의 약 70%인 췌장이식 100례를

달성했다.

췌장이식의 대가로 불리는 서더랜드 교수가 이끄는 미국 미네소타대학병원의 췌장이식센터는

세계적으로 최장, 최다 건수의 수술을 시행하고 있는데 지금까지 2000례 이상이 넘었고

세계 최고의 치료 성적을 자랑하고 있다.

췌장이식 수술의 경우 간이나 신장에 비해 치료 성적이 떨어진다고 알려져 있지만,

수술 방법 개선과 면역억제제 개발로 수술이 활발히 이루어지기 시작한 1999년 이후부터는

치료 성적이 크게 개선됐다.

전체 100건 중 당뇨 합병증으로 신부전증까지 동반돼 신장과 췌장을 동시에 이식

받은 환자가 54명, 이미 신장이식을 받고 일정시간이 경과한 후 췌장을 이식받거나

당뇨병에 의한 합병증 발생 초기에 췌장만 단독으로 이식받은 환자가 46명이었다.

신장·췌장 동시 이식과 췌장 단독 이식에서 환자의 1년 생존율을 각각

살펴보면 각각 94%와 95%로 대등하지만, 췌장 1년 생존율을 비교해보면 87%와 82%로

신·췌장을 동시에 이식받은 환자에서 더 높은 치료 성적을 보였다.

췌장이식을 받은 100명의 환자를 살펴보면 20~30대가 67명으로 약 70%를 차지했으며,

소아형 당뇨병인 제1형 당뇨가 86명 성인형 당뇨병인 제2형 당뇨가 10명, 기타 질환에

의해 당뇨질환이 생긴 환자가 6명으로 나타났다.

특히 췌장이식을 받은 100명의 당뇨 환자는 평균 12년 6개월간 인슐린 치료를

하면서 당뇨병과 당뇨 합병증으로 인한 고통 속에 살아온 것으로 분석됐다.

이식받은 환자를 성별로 분석해보면 남자 54명, 여자 46명. 장기 기증자는 남자

71명, 여자 29명으로 이 중 생체 기증은 11건, 뇌사자 기증은 89건으로 서구유럽에

비해 생체 췌장이식 비율이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한덕종 교수는 “대부분 뇌사자 췌장을 기증받아 이식하는 서구유럽에 비해 생체

췌장이식 비율이 높은 것은 국내에서 뇌사자 장기 기증이 부족 상황에서 뇌사자 중심의

췌장 이식 수술법의 한계를 극복하고 국내 생체 췌장이식 활성화를 위한 토대를 마련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서울아산병원 장기이식센터는 오는 13일(월) 오후 2시 당뇨병 치료와 췌장이식의

세계적 대가인 미국 미네소타대학병원 외과 서더랜드 교수(전 세계이식학회 회장)

등 해외 석학을 초청해 췌장이식 100례를 기념하기 위한 심포지엄을 개최한다.  

백성주기자 (paeksj@dailymedi.com)

기사등록 : 2008-10-09 18:16

출처

데일리메디( www.dailymedi.com )

    코메디닷컴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