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헬리코박터-위암 첫 규명

분당서울대병원 김나영 교수, 내원환자 1790명 대상 장기추적

한국인 헬리코박터-위암 첫 규명만성위염과 소화성궤양의 주요 원인으로 알려진 헬리코박터 파일로리(H.pylori)

감염과 위암과의 관계에 대해 한국인을 대상으로 조사한 연구결과가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밝혀졌다.

분당서울대병원 소화기내과 김나영 교수[사진]는 지난 1992년부터 병원을 내원한

179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평균 9.4년 장기 추적 결과 위암이 발생한 환자 5명 모두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에 감염돼 있었으며, 이중 4명(80%)은 장상피화생 소견을 보였다고

밝혔다.

또 920명을 대상으로 장상피화생 존재 유무에 따른 위암 발생률을 8.6년 간 조사한

결과 장상피화생이 없었던 경우(10만명당 17.2명 비율)보다 장상피화생이 있는 군에서의

위암 발생률(10만명당 187.4명의 비율)이 10.9배 높게 나타났다.

이는 장상피화생이 위암 발생에 매우 중요한 요소임 증명된 것.

아울러 김교수팀은 위암이나 소화성궤양이 없는 정상인 389명을 대상으로 연령대별

장상피화생의 유병률 및 위험인자에 대한 연구를 동시에 시행했다.

그 결과 389명 중 30대에서 장상피화생 양성률은 11.3%로 나타났으며, 70세 이상에서는

42.9%의 양성률을 보였다.

또한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군과 비감염군에서의 장상피화생 유무를 비교한

결과에서도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비감염군은 40대에서는 9.7%의 양성률을 보이다가

70세 이상에서는 30%를 보였다.

반면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군은 30대에 이미 21.1%의 높은 양성률을 보였으며

70세 이상에서는 50%의 양성률을 보임으로서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 여부에 따라

매우 큰 차이를 보였다.

김교수팀은 장상피화생을 유발하는 위험인자 분석을 위해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여부, 숙주인자 및 환경인자 등에 대한 포괄적인 연구 결과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이 장상피화생의 가장 큰 위험인자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군은 비감염군에 비해 8.2배의

위험률을 나타냈고, 다음으로 연령이 증가할수록, 흡연력이 있는 경우가 없는 경우보다

3.5배, 매운 음식을 즐기는 경우가 아닌 경우에 비해 2.4배 위험률을 나타냈다고

연구팀은 덧붙였다.

김나영 교수는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과 흡연, 매운 음식에 의해 장상피화생

소견이 발생하면 이후 위암으로 진행할 가능성이 높다”며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 환자라면 제균 치료를 받아 장상피화생으로 진행되는 것을 예방하도록 하는데,

장상피화생 발생 예방을 위해서는 30대에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검사를 받아 양성인

경우 제균 치료를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한편, 이 연구는 2006년 5월부터 2008년 3월까지 보건복지가족부 미래보건기술개발사업중개연구에

의해 수행됐으며, 미국 소화기 학회지인 Clinical Journal of Gastroenterology 5·6월호와

Helicobacter誌에 발표될 예정이다.  

백성주기자 (paeksj@dailymedi.com)

기사등록 : 2008-03-31 12:10

출처:

데일리메디( www.dailymedi.com )

 

    코메디닷컴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