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뉴스
유전자 변형 돼지 심장 이식 두 번째 성공…경과는?
유전자 변형 돼지의 심장을 사람에게 이식하는 수술이 두 번째 성공을 거뒀다고 미국의 뉴욕타임스(NYT)가 2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미국 메릴랜드 의대 의료진은 지난 20일 말기 심장병 환자인 로런스 포셋 씨(58)에게 인간 면역체계의 거부반응을 유발하지 않도록 유전자 변형이 가해진 돼지의 심장을 이식하는 수술에 성공했다고 발표했다. 메릴랜드주 프레더릭
운동 제대로 할 수 없을 때…“어떻게 살 빼?”
살 빼는 가장 좋은 방법은 적게 먹고 더 많이 운동하는 것이다. 하지만 실천이 만만치 않다. 단순한 의지의 차원이 아니라 건강상 문제로 운동에 제한이 있다면 더욱 그렇다. 가령, 신체 일부에 부상을 입었을 때, 관절염이나 섬유근육통이 있을 때, 질병으로 인해 운동 시 혈당이 위험할 정도로 낮아질 수 있을 때 등이다. 운동은 신진대사를 촉진해 몸이 칼로리를
치매 100만 명 넘었다.. 나쁜 습관 vs 좋은 음식은?
알츠하이머 치매 뿐 아니라 뇌졸중(뇌경색-뇌출혈) 등 뇌혈관 문제로 발생하는 혈관성 치매도 전체 치매의 15~20%를 차지한다
장 건강을 위한 최고의 음식 VS 최악의 음식
우리의 장은 음식물을 소화하고 감염과 염증을 예방하기 위해 다양한 박테리아(세균)의 적절한 균형에 의존한다. 장 건강은 정신 건강, 체중, 혈당 및 간에도 영향을 미친다. 통곡물, 채소, 양파, 마늘, 대두 등 프리바이오틱 식품은 장내 유익균의 먹이 역할을 한다. 반면에 장내 박테리아의 균형을 깨뜨리거나, 유익균까지 닥치는 대로 죽여 장 건강을 해치는 식품
“짜장면만 먹으면 가스가”…더부룩한 이유 있었네
“이상하게 짜장면만 먹으면 속이 더부룩하고 가스가 차요”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 올라온 고민 글이다. 짜장면은 대표적인 한국식 중식 메뉴로 연중 따로 먹는 날이 있을 정도로 대중화됐다. 그러나 유독 짜장면을 먹고 속이 더부룩하다는 등 소화불량을 경험했다는 사례가 많다. 과연 짜장면에 있는 무엇이 소화이상을 부른 것일까. 기름과 밀가루 &
임신 원한다면 쉬자…’커피 끊기’ 챌린지 언제 필요할까?
30일간 커피를 끊으면 몸에 어떤 변화가 생길까? 매일 각종 도전, 이른바 챌리지가 유통되는 소셜미디어에서 최근에는 건강 관련 도전들도 많이 생겨나고 있다. 특히 커피나 술 등 중독적 물질을 안먹고 나타나는 변화를 기록하는 영상물도 많다. ‘직장인의 수액’이라는 별명까지 붙은 커피를 끊기란 쉽지 않다. 게다가 커피가 건강에 이롭다는 연
녹즙이 폐암 치료?…유튜브 폐암 정보 80%가 ‘위험’
디지털 정보가 쏟아지는 시대지만 ‘건강’에 대한 정보만큼은 ‘진짜’를 가려낼 필요가 있다. 최근 국내 연구팀이 조회수 1만회가 넘는 유튜브 동영상 171개를 분석한 결과, 78개는 잘못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정 식품으로 폐암을 막고 치료할 수 있다는 가짜 정보 등을 진짜인 것마냥 안내하고 있는 것이다. 최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
암과 싸우는 세포에 맞는 ‘갑옷’ 개발…각종 부작용 뚝↓
각종 암에 맞서 싸우는 세포에 입힐 ‘갑옷’에 해당하는 새로운 생체재료가 만들어졌다. 미국 펜실베이니아대 공대 연구팀은 면역요법인 ‘키메라항원수용체 T세포(CAR T)’ 치료제의 심각하고 치명적인 부작용을 막기 위해 암과 싸우는 T세포에 입힐 생체재료를 개발해냈다고 밝혔다. 연구팀에 의하면 이 생체재료를 암과 싸우는 키메라항원수용체 T
女 생리 전에 통증 심하면…45세 전 조기 완경될 수도
월경 전 장애(PMD)가 있는 여성은 45세 이전에 조기 폐경(완경)을 겪을 가능성이 두 배 이상 높다는 새로운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의학협회저널 네트워크 오픈(JAMA Network Open)》에 발표된 유럽과 미국 연구진의 논문을 토대로 CNN이 21일(현지시간) 보도한 내용이다. 월경 전 증후군(PMS)으로도 불리는 월경 전 장애는 월경 주기 시작
코메디닷컴, 10월 11일 ‘명의 콘서트’ 보러 오세요
“함께 더 젊어지는 시간으로 초대합니다!”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명의 콘서트가 10월 11일(수) 오후 3시 서울 서강대학교 가브리엘관 1층에서 열린다. 명의 콘서트는 국내 명의들을 현장에서 만날 수 있는 기회와 함께 보다 실질적인 건강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한 강연 행사다. 이번 명의 콘서트에서는 국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