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엉덩이 납작, 종아리 물렁”... 최악의 생활 습관은?

  나이 들면 체형의 변화도 두드러진다. 특히 하체 근육이 예전 같지 않다. 엉덩이는 갈수록 납작해지고 종아리는 물렁해진다. 보기에도 민망하지만 무엇보다 건강 악화의 신호일 수 있다. 갱년기를 겪는 중년 여성의 허리는 굵어지고, 피하지방은 늘어나지만 근육은 눈에 띄게 빠진다. 엉덩이가 납작

“중년 여성 부정맥 왜 이리 많아”... 가장 나쁜 습관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최근 5년(2018~2022년) 동안의 심장병 진료 현황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부정맥’으로 병원을 찾은 사람들이 2022년 46만 4천여 명이나 됐다. 부정맥 수술을 한 사람도 1만 2천 명이다. 부정맥은 가슴이 두근거리는 것이 주요 증상이지만, 뜻밖에 돌연사 가

된장국에 시금치, 미역 넣어 먹었더니... 몸의 변화가?

  된장은 몸에 좋은 점과 나쁜 점이 함께 있다. 콩에 소금을 넣어 발효시킨 된장은 콩 속의 이소플라본 성분이 갱년기 여성의 증상 완화, 유방암 예방에 도움을 주지만 너무 짜게 만들면 고혈압, 위암 위험도 증가한다. 된장국에 시금치나 미역을 넣으면 어떤 효과가 있을까? 한국과 일본이

내가 내는 건보료 잘 쓰이나?... 의사도 불만 vs 퇴직자는 더 불만

  퇴직자는 건보료(건강보험료) 내기가 참 힘들다. 직장에 있을 때는 회사에서 절반을 부담했지만 퇴직하면 100% 혼자서 내야 한다. 지역 가입자는 직장인과 달리 재산에도 건보료를 부과한다. 수십 년 간 허리띠를 졸라 매서 겨우 장만한 아파트 한 채라도 있으면 한 달에 30만 원을 넘게 내

아침엔 달걀-채소, 저녁은 일기 쓰기... 104세 장수인들의 공통점은?

  1920년 출생... 삼일절(1919년 3월 1일) 이듬해에 태어나 광복의 해인 1945년에 25세의 청년이었던 분들이다. 김형석 연세대 명예교수가 잘 알려져 있지만, 또 한 분의 104세 장수인이 주목받고 있다. 이들의 식습관과 생활 습관은 어떨까? 일반화할 수는 없어도 참고는 할 만

“당뇨병, 전 단계 왜 이리 많나?”... 췌장암 위험 높이는 이유가?

  대한당뇨병학회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20년 기준 30세 이상 당뇨 유병자는 605만 명이나 된다. 당뇨병 전 단계는 1497만 명으로 추정되어 ‘당뇨 대란’이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 엄청난 숫자다. 전 단계는 철저히 혈당 관리를 시작하면 당뇨병으로 진행하지 않지만 아슬아슬한 상황이

김치 대신에 생배추 자주 먹었더니... 몸에 변화가?

  102세 할아버지가 식사 때 김치 대신에 생배추를 먹는 모습이 주목받은 적이 있다. 소금에 절인 짠 김치를 안 먹고 생배추를 소량의 된장에 찍어서 수십 년 동안 먹고 있다는 것이다. 할아버지는 건강에 대한 관심이 남달라 장수에 관한 책도 자주 읽는다고 했다. 암에 걸리는 것은 유전 탓이

“앉아 있는 시간 줄여야”... 걷기 외 근력 운동은?

  벚꽃이 활짝 피었는데 오늘도 집 소파에서 마냥 앉아 있는 사람이 있다. 운동을 해야 한다는 것을 알면서도 “귀찮아서” “움직이기 싫어서” 하루 종일 소파와 같이 지낸다. 우리나라 사람의 운동 부족은 ‘위험 수준’이다. 한국인 2명 중 1명은 세계보건기구(WHO)가 권고한 정도의 신체활동

“노화 못 막아도 늦출 수 있다”... 최악의 식습관은?

  노화를 피할 수 있을까? 많은 사람들의 욕망이지만 나이 들고 늙는 것은 인간의 숙명이다. 하지만 노화를 최대한 늦출 수는 있다. 잠을 잘 자고 좋은 음식을 먹고 몸을 부지런히 움직이는 것이다. 노화와 수면, 음식에 대해 다시 알아보자. 장기간 잠 제대로 못 잤더니... “노화 빨라

잡곡밥에 고등어·견과류 먹었더니... 고지혈증·체중에 변화가?

  나이 들면 살이 찌고 혈액이 탁해진다. 방심하면 심뇌혈관질환 등 혈관병으로 진행될 수 있다. 식사가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 핏속의 중성지방-콜레스테롤을 줄이고 체중 조절에도 좋은 음식들을 먹어보자. 통곡물, 고등어, 견과류 등이 그것이다. 탄수화물 끊어? 잡곡밥으로... 핏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