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 들수록 우울….국내 우울증 유병률, 선진국과 비슷

[사진= Jacob Wackerhausen/gettyimagesbank]
우리나라 인구 100명 중 5명 이상이 우울증을 겪고 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이는 선진국 유병률과 비슷한 수준이다.

그동안 국내 우울증 유병률은 약 3% 로, 5%가 넘는 선진국보다 낮은 것으로 분석돼 왔다.

서울아산병원 신용욱(정신건강의학과)·조민우(예방의학과) 교수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진료 빅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표본 코호트 자료를 분석, 국내 우울증 유병률이 선진국과 비슷한 5.3% 수준이라는 점을 확인했다.

우울증을 겪고 있는 사람들의 자살 위험이 4배가량 높아진다는 점도 확인했다.

신용욱·조민우 교수팀은 2002~2013년까지 전국 각 병원에서 진료를 받은 환자 중 101만여 명의 임상 데이터를 무작위로 추출한 국민건강보험공단 표본 코호트 자료를 활용해 국내 우울증 유병률, 우울증과 자살의 상관관계 등을 분석했다.

그 결과, 2002년에는 우울증 환자가 전체 표본 대비 약 2.8%였고, 2013년에는 약 5.3%로 2배가량 늘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성별로는 남성의 약 3.9%, 여성의 약 6.8%가 우울증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여성의 우울증 위험이 더 큰 것으로 분석됐다.

연령별로는 나이가 많을수록 우울증 환자의 비율이 증가했다. 20·30대는 약 2.7%가 우울증이 있었고, 40·50대는 약 5.7%, 60·70대는 약 13.9%, 80대 이상은 무려 18.4%가 우울증을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증이 있는 집단과 정상 집단으로 나눠 자살률을 분석한 결과에서는 우울증 집단의 자살률이 약 3.8배 높았다.

자살과 관련 있는 요인으로 알려진 성별, 나이, 소득 수준, 거주 지역에 따른 자살률도 분석했는데, 남성이거나 나이가 많을수록 자살 위험이 각 약 2.5배, 1.5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 수준과 거주 지역은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조민우 교수는 “전체 표본 집단 대비 우울증으로 새로 진단되는 환자들의 비율은 매년 비슷했지만, 전체 유병률은 계속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나 우울증이 잘 치료되지 않고 만성화되는 경향을 보인 것으로 분석됐다”고 말했다.

또한, 신용욱 교수는 “2008년 세계 금융 위기를 겪으면서 우울증뿐만 아니라 자살률이 우리나라를 포함해 전 세계적으로 크게 늘었는데, 최근에도 코로나19가 장기화되면서 사회 활동이 줄어들다보니 흔히 ‘코로나 블루’라고 불리는 우울감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늘었다”며 “불면증이 나타나거나 무기력함이 2주 이상 지속되는 등 우울감으로 인해 일상생활이 힘들다고 느껴지면 전문의를 찾아 최대한 빨리 치료받아야 한다”고 전했다.

그동안 국내 우울증 유병률에 대한 연구는 표본 집단이 작아 대표성을 띠기에 부족했다. 이번 연구는 코호트 방법이 적용된 대규모 빅데이터를 분석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미가 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에 최근 게재됐다.

    문세영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