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우자가 사망했을 때 아내보다 남편의 수명이 훨씬 많이 단축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플로스 원(PLOS ONE)》에 발표된 덴마크 코펜하겐대 연구진의 논문을 토대로 건강의학 웹진 ‘헬스 데이’가 24일(현지시간) 보도한 내용이다.
연구진은 65세 이상 덴마크 노인 약 92만5000명의 대상으로 6년 동안 건강 결과를 추적한 결과 65세~69세…
뱃살은 빼기가 참 어렵다. 배 안의 장기 내부나 장기와 장기 사이의 공간에 축적된 내장 지방을 분해하려면 식단을 비롯한 생활 습관 전체에 변화가 필요하다. 우선 단백질과 섬유질 섭취를 늘리고 트랜스 지방과 당분 섭취는 줄이는 등 식단을 엄격하게 관리해야 한다.
앉아 있는 시간을 줄이고 규칙적으로 운동을 해야 함은 물론이다. 뱃살을 태우는데 좋은 음식을…
여러 가지 이유로 신장이 나빠지면 투석치료나 신장이식을 한다. 생체신장이식을 계획한다면 보통 가족들로부터 신장을 기증받게 되는데 이때 공여자가 건강하다면 꼭 혈액형이 일치하지 않아도 신장을 이식할 수 있다. 혈액형 부적합 신장이식, 어떻게 가능한 것일까.
탈감작요법 통해 혈액형 달라도 이식 가능
다른 형 혈액에는 자신에게 없는 혈액형 항원에…
눈이 자주 침침하거나 가렵다면 안구건조증일 수 있어 평소 관리를 잘 해야 한다. 요즘처럼 건조하고 미세먼지가 많은 날엔 특히 주의하자. 눈이 뻑뻑하고 이물감이 들 때 눈을 감으면 잠시 편하게 느껴진다. 일시적 편안함은 곧 사라지고 오후로 갈수록 증상이 심해져 생활에 지장을 줄 수도 있다.
◆ 눈 자주 깜빡이고 잠은 충분히 자기
눈이 건조하면 일부러…
마그네슘이 든 식품을 하루에 40% 가량 더 먹으면 치매에 걸릴 위험이 상당히 낮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호주국립대(ANU) 연구팀은 마그네슘 성분 함유 식품을 하루에 41% 더 먹으면 55세에 이를 때까지 뇌 연령이 약 1년 덜 늙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인지기능이 정상적인 40~73세 영국 남녀 6000명…
에스트로겐과 프로제스토젠(progestogen)이 함께 들어있는 복합피임약(combined contraceptive pill)은 유방암 위험을 약 20%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프로제스토젠 단독 성분도 유방암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국 옥스퍼드대 연구진은 20세에서 49세 사이 침윤성 유방암이 발병한 여성 9000여 명과 질병이…
밤에 잠이 오지 않는 데는 다 이유가 있다. 낮잠을 많이 잤다거나 잠들기 어려운 고민거리가 있거나 중대한 일을 앞두고 긴장하고 있는 등의 원인이 잠을 청하기 어렵게 만든다. 또 저녁에 먹은 요리가 밤잠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미국 요리 전문지 ‘쿠킹라이트’에 따르면 잠을 자는데 도움이 되는 음식과 방해가 되는 음식이 있다. 잠이 오지 않을 때는…
뼈가 튼튼해야 치매에 덜 걸릴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네덜란드 에라스무스대 의대 연구 결과에 따르면 골밀도가 낮은 사람은 높은 사람에 비해 치매에 걸릴 위험이 42%나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치매가 없는 네덜란드 성인 남녀 3651명(평균 나이 72세)을 조사했다. 또 X-레이를 찍어 이들의 골밀도를 측정했으며 뼈 스캔, 치매 검사…
불임 부부가 인공수정으로 아기를 갖게 될 경우 80%의 성공 확률로 아들과 딸을 선택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22일(현지시간) 《플로스원(PLOS ONE)》에 발표된 미국 웨일 코넬 의대 연구진의 논문을 토대로 건강의학 웹진 ‘헬스 데이’가 보도한 내용이다.
웨일 코넬 의대의 지안피에로 팔레르모 교수(산부인과) 연구진은 1300명 이상의 불임부부…
현재 52시간인 일주일 최대 근로 허용 시간을 늘리는 방안을 놓고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늘리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는 정부에 비해 국민들이 실제로 희망하는 주간 근무시간은 36.70시간으로 주 52시간보다 훨씬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렇다면 최적의 근무시간은 얼마일까. 전문가들은 “이는 생산성에 달려 있다”며 “생산성을 최고조로 유지할 수…
임신합병증이 여성의 사망위험을 높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특히 제왕절개로 조기분만한 여성이 일찍 숨질 위험이 높았다. 여성의 삶에서 임신은 매우 중요한 일로 평생에 걸쳐 건강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아시아 여성의 건강을 위한 글로벌센터(GloW) 소장이자 싱가포르 국립대 의대 산부인과학부 석좌교수인 장추이린(Cuilin Zhang)…
커피는 몸 속 C-반응성 단백질의 염증 수치를 낮추기 때문에 당뇨병의 위험을 줄여준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네덜란드 에라스무스대 로테르담의료센터 연구팀은 커피를 하루에 한 잔 더 마시면 제2형당뇨병에 걸릴 위험이 4~6% 낮아지는 걸 대규모 코호트(동일집단) 연구에서 확인했다고 밝혔다.
전문가에 따르면 대부분 성인은 커피를 하루에 3~5잔(최대…
갑자기 허리선이 평소보다 더 늘어난 것처럼 느껴지면 그 원인부터 파악해야 한다. 복부팽만인지 복부에 쌓인 지방인지에 따라 대응법도 달라지기 때문이다.
복부팽만의 경우 식사에 변화를 주면 해결될 수 있는 문제다. 복부 주변의 지방 축적은 식단과 운동 루틴이 달라지면서 생긴 결과일 수 있고, 건강을 위한 변화가 필요하다는 신호일 수도 있다. 미국 건강…
미국 군용기 조종사와 지상 근무자의 암 발병률이 일반인보다 높다는 미 국방부의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 국방부의 보고서를 토대로 건강의학 포털 ‘웹엠디(WebMD)’가 20일(현지시간) 보도한 내용이다.
미 국방부는 1992년∼2017년 군용기에 탑승하거나 항공기 연료 공급·정비 등의 임무를 수행한 약 90만 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했다. 군용기…
미세먼지는 눈에 보이지 않는다. 입자가 작아 기관지 섬모에서 걸러지지 않고 우리 몸 깊숙이 침투해 코, 기관지, 폐 등 호흡기에 고약한 질병을 일으킨다. 피부와 호흡기를 통해 몸으로 침투하는 미세먼지는 각종 질병을 일으키는 원인 중 하나로 꼽힌다.
건강·의료 매체 ‘메디컬뉴스투데이’ 자료를 토대로 호흡기 질환 이외에도 미세먼지가 일으키는 질병을…
위산이 역류하면 목구멍을 타고 올라오면서 가슴이 답답하고 쓰라린 증상이 나타난다. 위산 역류는 두통이나 복통처럼 누구나 한 번쯤 경험하는 흔한 현상이다. 과식이나 과음 후 쉽게 일어날 수 있다.
목이 아프거나 목소리가 변한 증상이 오래 간다면 만성적인 위산 역류가 아닌지 진단을 받아볼 필요가 있다. 하부 식도 괄약근이 늘어져 위산이 역류하게 되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