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지해미 기자
미디어본부
건강한 생활을 위해 건강한 정보로 건강하게 다가가겠습니다.
"지나친 낙관도"...함께 있으면 기빨리는 사람, 혹시 당신?
살면서 우리는 아주 다양한 성격을 가진 사람들을 만난다. 그 중에서 함께 있기만 해도 기가 빨리는 듯한 느낌을 주는 사람들이 있다. 이런 사람들과 시간을 보내면 기운이 빠지고, 지치며, 감정이 모조리 소모된 것 같은 느낌이 든다.
가만 두면 내 기를 모두 빼가는 듯한 사람이 가진 특징, 호주 대인관
회사에서 잘나가는 능력자..."알고보니 사이코패스?"
우리 사회에 숨어 있는 사이코패스들이 있다. 같이 일하다 보면 혹시 이사람?이라 생각드는 경우도 은근히 많다. 진짜다. 이를 ‘코퍼릿 사이코패스(corporate psychopath)’라 한다. 반사회적 인격장애를 뜻하는 ‘사이코패스’에 기업을 의미하는 ‘corporate’가 합쳐진 말이다. 기업이나
아침 알람 끄고 10분만 더!... '스누징'이 오히려 좋다고?
아침에 알람이 울릴 때 스누즈 버튼을 누르고 다시 이불 속으로 들어가는 게 좋은 습관은 아닌 것으로 알려져 있다. 버튼을 누른 후 일어날 때까지 자는 조각잠은 수면의 질이 낮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이 가운데 우리가 알고 있는 것과는 반대로 스누즈 버튼을 누르는 습관이 생각만큼 나쁘지 않을 수 있음을 시
"코골이 심하면 꼭 보세요"...드르렁 더 심하게 하는 음식들
귀청 떨어질 듯한 배우자의 코골이 소리는 밤잠을 설치게 한다. 본인도 짜증이 나지만, 당사자의 건강에도 좋지 않다. 코골이 자체는 병이 아니지만, 심한 경우 자는 동안 기도가 막히며 숨이 자주 멈추는 수면무호흡일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고혈압, 심장병, 2형당뇨병 등 여러 질환의 위험을 높인다.
"나만 칼로리 덜 소모?"...왜 그런가 봤더니 '6가지 요인'
운동을 할 때 사람마다 소모되는 칼로리의 양은 다르다. 주어진 시간에 얼마나 많은 빨리 혹은 느리게 칼로리를 소모하는지에는 다양한 요인이 작용한다. 칼로리 소모량에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치는 요인은 뭘까? 미국 건강정보 매체 ‘에브리데이헬스(Everyday Health)’에서 운동 및 영양전문가의 의견을
"아추~추워지니 피곤해"…이것이 ‘추곤증’?
해는 점점 짧아지고 아침에 일찍 일어나면 밖은 아직 어둑어둑하다. 여름이 가고 선선한 바람이 부는 가을이 오면서 피로감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많다. 계절성우울증 중 추운 겨울에 나타나는 겨울철 우울증은 꽤 많이 알려져 있지만, 여름이 끝나고 가을이 오는 환절기에도 나른함과 피로를 느끼는 추(秋)곤증을 경험
“대장암 일으키는 장내미생물 찾았나?”…이 박테리아 뭐길래
장내 미생물과 대장 병변 및 암 발병 사이에 연관성이 있을 수 있음을 시사한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 달 14~17일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열린 ‘2023 유럽소화기학회 주간(UEG Week 2023)’에서 발표된 이번 연구에서는 전암상태의 결장 병변이 생긴 사람들의 장내 미생물군집에 변
“커피 마시면 바로 응가”…왜 '커피똥' 마렵나?
많은 사람들이 아침 커피 한 잔을 즐긴다. 커피는 누군가에겐 잠을 깨우고 하루를 시작할 때임을 알리는 역할도 하지만, 또 다른 누군가에겐 장을 비우는 데 도움을 주기도 한다.
모두가 그런 건 아니지만 커피를 마시면 배변 신호가 온다는 사람들이 있다. 정말 커피가 배변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일까.
음식 씹는 마법의 숫자...'이만큼' 씹어야 뱃살이 안찐다
밥을 먹을 때 꼭 TV나 휴대폰을 보는 사람들이 있다. 보통 이런 것들에 주의를 뺏기면 나도 모르게 음식 먹는 속도가 빨라지기 쉽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무엇을 먹는지 뿐만 아니라 ‘어떻게’ 먹는지도 신경 써야 한다고 말한다. 특히 음식을 먹을 때 즐기거나 음미하지 않고 몇 분 내에 그릇을 싹 비워버리는
한밤 중에 화장실 들락날락…내 몸의 수분 문제일까?
야뇨증은 보통 아동에게 나타나는 문제로 알려져 있지만, 사실 성인 중에서도 야간뇨 증상을 가진 사람들이 많다. 특히 남성의 경우에는 나이가 들면서 비대해진 전립선 조직이 요도를 누르게 되고, 이로 인해 요도가 좁아져 소변이 완전히 배출되지 못해 잔뇨감, 야간뇨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야간뇨는 수면장애와